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안전도시 진단 - 시설물 및 노후주택 화재실태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19
 - 연구기간
2019.07.01 ~ 2019.12.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개요
❍ 전국 및 인천시 사회재난·사고 피해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사고유형 중 도로교통 사고(각 표의 ‘도로교통’ 항목)와 화재사고의 발생빈도 비중이 전체 약 90%에 이를만큼 그 대부분을 차지
❍ 인명피해의 경우 교통사고가 전체 재난·사고의 대부분을, 재산피해의 경우 화재사고가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주요한 재난·사고 유형임.
- 인천시의 경우 역시 인명피해 중 교통사고의 비중이 89.9%, 재산피해 중 화재의 비중이 94.5%에 이를만큼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고유형으로 판단할 수 있음.
❍ 화재는 최근 뚜렷해지고 있는 기후변화에 있어서 더욱 우려되는 재난유형임.
이상기후로 인해 폭염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화재사고도 도시지역, 비도시지역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짐.
❍ 인천연구원 역점과제, 「인천시 안전도시 진단」은 인천시가 중점적으로 검토해야할 사회재난·사고 유형을 선정한 후, 각 재난·사고유형별 또는 시설별 사고위험및 안전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주 연구내용으로 함. 그리고 이에 따라 인천시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주요 이슈 및 문제점,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함.
❍ 특히 본 연구는 그중 화재사고를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천시 시설물별 화재 위험수준을 파악하고 화재 관련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인천시 화재안전을 위한 정책사업과 후속연구를 제안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함.
연구목차
연관 검색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