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형 시민참여 항만재생 프레임 구축방향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0
- 연구기간
2020.01.01 ~ 2020.07.3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개요
❍ 인천 내항은 우리나라의 근대 개항 역사를 가진 장소이자 인천의 주요 친수 거점인 동시에 국가 산업항으로 시민 이용이 제한된 지역이자 소음, 교통 불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 시설임
❍ 항만 기능이 노후, 쇠퇴하고 활용도가 낮아짐에 따라 연쇄적으로 주변 지역의 쇠퇴가 나타났으며, 이에 내항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내항 뿐 아니라 주변 지역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공감대가 형성됨
❍ 그러나 미래의 내항 활용 방향 설정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와 연관 주체, 공론화를 통한 합의된 제안 등이 부재함에 따라 향후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2000년대에 들어와 내항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나, 이해관계가 첨예하여 현재까지 지역 문제로 남아있음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천 내항의 현 상황에서의 주요 이슈를 발굴하여 구체화 하고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제안 마련을 위한 공론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현재 내항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슈 및 참여 주체, 이해 관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 분석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현재의 과제를 명확화하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함
❍ 인천 내항은 우리나라의 근대 개항 역사를 가진 장소이자 인천의 주요 친수 거점인 동시에 국가 산업항으로 시민 이용이 제한된 지역이자 소음, 교통 불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 시설임
❍ 항만 기능이 노후, 쇠퇴하고 활용도가 낮아짐에 따라 연쇄적으로 주변 지역의 쇠퇴가 나타났으며, 이에 내항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내항 뿐 아니라 주변 지역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공감대가 형성됨
❍ 그러나 미래의 내항 활용 방향 설정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와 연관 주체, 공론화를 통한 합의된 제안 등이 부재함에 따라 향후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 2000년대에 들어와 내항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나, 이해관계가 첨예하여 현재까지 지역 문제로 남아있음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천 내항의 현 상황에서의 주요 이슈를 발굴하여 구체화 하고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제안 마련을 위한 공론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현재 내항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슈 및 참여 주체, 이해 관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 분석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현재의 과제를 명확화하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