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근거리 생활체육시설의 합리적 배치방향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1.01 ~ 2021.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개요
❍ 중앙정부는 100대 국정과제로 ‘모든 국민이 스포츠를 즐기는 활기찬 나라’를 선정하고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생활SOC 체육시설 지원사업을 전개(국민들이 거리 2km 이내, 시간 10분 이내 생활체육시설 1개소 이상 설치)하고 있으며1), 시에서는 국비 매칭 사업으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인천 역시, 근거리에서 이용가능한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공공체육시설의 배치, 조성은 관련 종목단체, 지역구 의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비효율적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음.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확충 사업에 대한 합리적 배치 기준을 마련하여 인천광역시 체육시설 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중앙정부는 100대 국정과제로 ‘모든 국민이 스포츠를 즐기는 활기찬 나라’를 선정하고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생활SOC 체육시설 지원사업을 전개(국민들이 거리 2km 이내, 시간 10분 이내 생활체육시설 1개소 이상 설치)하고 있으며1), 시에서는 국비 매칭 사업으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인천 역시, 근거리에서 이용가능한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공공체육시설의 배치, 조성은 관련 종목단체, 지역구 의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비효율적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음.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확충 사업에 대한 합리적 배치 기준을 마련하여 인천광역시 체육시설 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 방법 및 범위
[2]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관련 문헌 및 제도
1.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생활체육시설의 필요성
2. 생활권 위계와 체육시설 배치기준
3. 공공체육인프라와 생활SOC 정책
4. 생활체육시설의 유형과 특성
5. 선행연구 검토
[3] 인천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현황 및 문제점
1. 인천시 공공체육시설의 지역주민 만족도 분석
2. 2019 국민생활체육조사 설문조사 결과 요약
3. 군·구별 생활체육시설 현황 및 소외지역 도출
[4] 인천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의 합리적 배치방향
1.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수요 및 적정배치를 위한 기본방향
2. 인천광역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군구별 수요
3. 중앙정부 생활SOC 사업 목표치 비교
4. 소외지역 외 생활SOC 확충방안과 양질의 스포츠서비스 공급방향
[5]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내용 요약
2. 주요 정책제언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 방법 및 범위
[2]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관련 문헌 및 제도
1.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생활체육시설의 필요성
2. 생활권 위계와 체육시설 배치기준
3. 공공체육인프라와 생활SOC 정책
4. 생활체육시설의 유형과 특성
5. 선행연구 검토
[3] 인천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현황 및 문제점
1. 인천시 공공체육시설의 지역주민 만족도 분석
2. 2019 국민생활체육조사 설문조사 결과 요약
3. 군·구별 생활체육시설 현황 및 소외지역 도출
[4] 인천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의 합리적 배치방향
1.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수요 및 적정배치를 위한 기본방향
2. 인천광역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 군구별 수요
3. 중앙정부 생활SOC 사업 목표치 비교
4. 소외지역 외 생활SOC 확충방안과 양질의 스포츠서비스 공급방향
[5]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내용 요약
2. 주요 정책제언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