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표지_민경선_인천기록원.jpg

문화관광

인천기록원 설립 및 운영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1.01 ~ 2021.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개요

❍ 2007년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공공기록물법’)은 전면개정을 통해 광역시·도지사가 소관 공공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운영하도록 규정함

❍ 그러나 인천광역시(이하 ‘인천시’)는 2021년 현재까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하지 않아서 지역 기록물의 멸실과 훼손이 우려되는 상황이며, 보존기록물에 대한 적극적 활용과 공개에 한계가 있음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인천시 기록물관리 현황 분석 및 문제점 진단.
- 둘째, 국내·외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인천기록원 설립 방안 마련에 참고할 시사점 도출.
- 셋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인천기록원 설립 및 운영 방안 제시
연구목차
[1] 연구개요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2] 지방기록물의 개념과 관리에 관한 논의
1. 개념
2.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필요성
3.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

[3] 인천시 기록물관리 현황과 문제
1. 현황조사 개요
2. 제도
3. 조직과 주요 사업
4. 시설과 장비
5. 보존자료
6. 소결:인천 기록물관리 실태의 문제점

[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사례
1. 사례조사의 개요
2. 서울기록원
3. 경상남도기록원
4. 해외사례
5. 소결:정책적 시사점

[5] 인천기록원 설립 및 운영 방안
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속성
2. 인천기록원 설립 방향
3. 인천기록원 운영 방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과 결론
2. 정책제언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