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인천 시사편찬 기구 설립 방향과 기능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2.01 ~ 2021.07.3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개요
❍ 도시의 성장과 발전 전략에서 지역의 고유한 역사가 갖는 가치의 발굴과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인천광역시(이하 ‘인천시’)도 「지역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2018~2022)」에서 지역 발전 전략 수립 시 경제적 성장에만 집중하기보다 도시의 역사적 자산의 다각적 활용에도 주목해야 함을 강조함
❍ 이에 따라 인천시의 역사·문화 자료를 수집·편찬·활용하는 것에 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인천시 문화관광국 문화유산과 내 한 개 부서(시사연구팀)에서 시사편찬 업무를 맡고 있어서, 시사연구팀의 업무 과중은 심화하고 시사편찬 및 활용과 관련한 기능의 적극적 확장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 인천시의 역사·문화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편찬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별도의 시사편찬 기구 설립에 관한 논의의 발전이 필요함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천 시사편찬 기구의 설립 방향과 주요 기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됨. 이를 위해 인천시 시사편찬 및 활용의 현황을 검토하고 개선 필요사항을 진단하고, 타 시·도의 역사편찬 추진방식을 조사하여 인천 시사편찬 기구 설립 방향 설정에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함
❍ 도시의 성장과 발전 전략에서 지역의 고유한 역사가 갖는 가치의 발굴과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인천광역시(이하 ‘인천시’)도 「지역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2018~2022)」에서 지역 발전 전략 수립 시 경제적 성장에만 집중하기보다 도시의 역사적 자산의 다각적 활용에도 주목해야 함을 강조함
❍ 이에 따라 인천시의 역사·문화 자료를 수집·편찬·활용하는 것에 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인천시 문화관광국 문화유산과 내 한 개 부서(시사연구팀)에서 시사편찬 업무를 맡고 있어서, 시사연구팀의 업무 과중은 심화하고 시사편찬 및 활용과 관련한 기능의 적극적 확장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 인천시의 역사·문화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편찬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별도의 시사편찬 기구 설립에 관한 논의의 발전이 필요함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천 시사편찬 기구의 설립 방향과 주요 기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됨. 이를 위해 인천시 시사편찬 및 활용의 현황을 검토하고 개선 필요사항을 진단하고, 타 시·도의 역사편찬 추진방식을 조사하여 인천 시사편찬 기구 설립 방향 설정에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함
연구목차
[1] 연구개요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2] 시사편찬 기구의 개념과 인천시 현황
1. 시사편찬 기구의 개념과 기능
2. 인천 시사편찬 업무추진 현황
3. 개선 필요사항 진단
[3] 타 시·도의 역사편찬 추진방식과 시사점
1. 사례조사의 개요
2. 전담사업소 설치: 서울특별시
3. 전문임기제 공무원 활용: 부산광역시
4. 외부기관 위탁: 경상남도, 제주도
5. 정책적 시사점
[4] 인천 시사편찬 기구의 설립 방향과 기능
1. 시사편찬 기구 설립 방향
2. 시사편찬 기구의 기능
3. 요약과 정책제언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2] 시사편찬 기구의 개념과 인천시 현황
1. 시사편찬 기구의 개념과 기능
2. 인천 시사편찬 업무추진 현황
3. 개선 필요사항 진단
[3] 타 시·도의 역사편찬 추진방식과 시사점
1. 사례조사의 개요
2. 전담사업소 설치: 서울특별시
3. 전문임기제 공무원 활용: 부산광역시
4. 외부기관 위탁: 경상남도, 제주도
5. 정책적 시사점
[4] 인천 시사편찬 기구의 설립 방향과 기능
1. 시사편찬 기구 설립 방향
2. 시사편찬 기구의 기능
3. 요약과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