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도시재생뉴딜사업 기초·현장지원센터 활동 및 운영 형태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2.01 ~ 2021.07.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개요
❍ 본 연구는 광역-기초-현장의 주 역할과 연계 체계, 운영 형태와 조직 규모, 주요 활동과 사업의 직·간접 지원 여부, 예산 등 다양한 관점에서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
❍ 또한 기초와 현장지원센터의 운영에 있어서는 활동 모니터링과 사업 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한 인식 도출,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현재 과제와 향후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
❍ 본 연구는 광역-기초-현장의 주 역할과 연계 체계, 운영 형태와 조직 규모, 주요 활동과 사업의 직·간접 지원 여부, 예산 등 다양한 관점에서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
❍ 또한 기초와 현장지원센터의 운영에 있어서는 활동 모니터링과 사업 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한 인식 도출,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현재 과제와 향후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
연구목차
[1]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2]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이해
1. 중간지원조직의 개념과 특성
2. 선행연구 고찰
3.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중간지원조직
[3] 인천시 도시재생뉴딜사업 기초·현장지원센터 현황분석
1. 현황분석 개요
2. 인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현황
3. 인천시 도시재생 기초·현장 지원센터 운영 특성
[4] 인천시 도시재생뉴딜사업 기초·현장지원센터 특성분석
1. 특성분석 개요
2. 설문분석
3. 관련자 인터뷰
4. 소결
[5] 결 론
1. 내용의 종합 및 과제 도출
2. 시사 및 정책제언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2]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이해
1. 중간지원조직의 개념과 특성
2. 선행연구 고찰
3.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중간지원조직
[3] 인천시 도시재생뉴딜사업 기초·현장지원센터 현황분석
1. 현황분석 개요
2. 인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현황
3. 인천시 도시재생 기초·현장 지원센터 운영 특성
[4] 인천시 도시재생뉴딜사업 기초·현장지원센터 특성분석
1. 특성분석 개요
2. 설문분석
3. 관련자 인터뷰
4. 소결
[5] 결 론
1. 내용의 종합 및 과제 도출
2. 시사 및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