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숭의 리노베이션 지원거점 조성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6.01 ~ 2021.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인천시는 지역별로 마을주택관리소를 설치·운영하고, 더불어마을사업이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사업 예산의 일부를 활용하여 집수리 사업·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교육과 사업이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지원범위도 달라서 공공 차원의 통합·지원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임
❍ 본 연구는 인천시 노후 저층주거지의 효과적 집수리 사업추진과 마을 관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을 위해 집수리 거점기관 설치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인천시는 지역별로 마을주택관리소를 설치·운영하고, 더불어마을사업이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사업 예산의 일부를 활용하여 집수리 사업·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교육과 사업이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지원범위도 달라서 공공 차원의 통합·지원 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임
❍ 본 연구는 인천시 노후 저층주거지의 효과적 집수리 사업추진과 마을 관리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을 위해 집수리 거점기관 설치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연구의 흐름
[2] 노후 주거지 집수리 관련 제도 및 인천시 사업 현황
1. 노후 주거지 집수리 관련 제도
2. 노후 주거지 집수리 교육 및 사업 추진실태
3. 소결
[3] 인천 집수리 사업 수요 및 타 시도 집수리 거점기관 사례 분석
1. 저층 노후주택 재고 분석
2. 집수리 지원사업에 대한 주민수요 분석
3. 집수리 사업 관련 시장 동향
4. 타 시도 집수리 (교육) 거점기관 운영 사례 조사
5. 소결
[4] 숭의 리노베이션 지원거점 조성 및 운영방안
1. 숭의 목공예센터의 집수리 기능 확대 검토
2. 숭의 리노베이션 지원거점 조성을 위한 기본전제
3. 사업목표 및 비즈니스모델
4. 세부 실행방안
[5]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연구의 흐름
[2] 노후 주거지 집수리 관련 제도 및 인천시 사업 현황
1. 노후 주거지 집수리 관련 제도
2. 노후 주거지 집수리 교육 및 사업 추진실태
3. 소결
[3] 인천 집수리 사업 수요 및 타 시도 집수리 거점기관 사례 분석
1. 저층 노후주택 재고 분석
2. 집수리 지원사업에 대한 주민수요 분석
3. 집수리 사업 관련 시장 동향
4. 타 시도 집수리 (교육) 거점기관 운영 사례 조사
5. 소결
[4] 숭의 리노베이션 지원거점 조성 및 운영방안
1. 숭의 목공예센터의 집수리 기능 확대 검토
2. 숭의 리노베이션 지원거점 조성을 위한 기본전제
3. 사업목표 및 비즈니스모델
4. 세부 실행방안
[5]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