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일자리 공간분포 및 직주근접성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22
- 연구기간
2022.01.01 ~ 2022.06.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인천은 지금까지 택지 위주의 도시개발을 시행함에 따라 일자리와 주거의 원격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일자리 증대를 위해 택지, 업무용지 매칭개발 등 각종 도시계획수단을 운용하고 있으나, 고령화 및 항만물류, 제조업 쇠퇴의 영향으로 직주근접이 용이한 일자리는 좀처럼 증가하지 않고 있음.
❍ 한편, 용도지역 순화와 직주분리 중심의 도시개발을 추진한 결과, 통근거리 및 통근시간 증가로 도시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일자리와 배후주거지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음.
❍ 본 연구는 생활권별로 일자리 유형 및 공간분포, 주택가격을 고려한 직주근접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직주근접형 도시로서 포용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함.
❍ 인천은 지금까지 택지 위주의 도시개발을 시행함에 따라 일자리와 주거의 원격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일자리 증대를 위해 택지, 업무용지 매칭개발 등 각종 도시계획수단을 운용하고 있으나, 고령화 및 항만물류, 제조업 쇠퇴의 영향으로 직주근접이 용이한 일자리는 좀처럼 증가하지 않고 있음.
❍ 한편, 용도지역 순화와 직주분리 중심의 도시개발을 추진한 결과, 통근거리 및 통근시간 증가로 도시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일자리와 배후주거지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음.
❍ 본 연구는 생활권별로 일자리 유형 및 공간분포, 주택가격을 고려한 직주근접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직주근접형 도시로서 포용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함.
연구목차
[1]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 범위 및 방법
[2]관련정책 및 선행연구
1. 국가정책 동향
2. 인천시 정책 동향
3. 선행연구 분석
4. 소결
[3] 인천광역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1. 인천광역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개요
2. 직주비 기준의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3. 고용통계 및 연말정산 자료를 활용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4. 주택가격 및 사업체 조사자료를 활용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5. 생활권별 임금과 주택가격을 비교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4]인천시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직주근접성 개선방향
1. 일자리 중심의 주택공급 관리계획 수립 및 분양/청약제도 개선
2. 일자리 부족 생활권의 신규일자리 공급
3. 일자리환경과 직주근접성 개선을 위한 기반시설 투자
4. 생활권별 일자리 및 주택 공급계획 수립
[5]연구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향후 정책방향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3. 연구 범위 및 방법
[2]관련정책 및 선행연구
1. 국가정책 동향
2. 인천시 정책 동향
3. 선행연구 분석
4. 소결
[3] 인천광역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1. 인천광역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개요
2. 직주비 기준의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3. 고용통계 및 연말정산 자료를 활용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4. 주택가격 및 사업체 조사자료를 활용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5. 생활권별 임금과 주택가격을 비교한 일자리 공간분포 분석
[4]인천시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직주근접성 개선방향
1. 일자리 중심의 주택공급 관리계획 수립 및 분양/청약제도 개선
2. 일자리 부족 생활권의 신규일자리 공급
3. 일자리환경과 직주근접성 개선을 위한 기반시설 투자
4. 생활권별 일자리 및 주택 공급계획 수립
[5]연구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향후 정책방향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