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의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협력 방향과 과제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1.01 ~ 2023.06.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2045 탄소중립 선언’을 한 인천광역시는 GCF(Green Climate Fund; 녹색기후기금)와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 기후기술센터 네트워크) 한국협력연락사무소를 유치한 바 있으며, 이들 국제기구는 UNFCCCC 하에서 각각 재정 메커니즘과 기술 메커니즘의 주요 축으로 역할을 하고 있음.
❍ 이에 이 연구는 UNFCCC의 전반적인 체계와 프로세스, 주요 기구별 역할과 기능 등에 대한 검토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협력 기반 조성 및 관내 기업 해외진출 지원 측면에서 관내 기후기술 보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및 육성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임.
❍ ‘2045 탄소중립 선언’을 한 인천광역시는 GCF(Green Climate Fund; 녹색기후기금)와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 기후기술센터 네트워크) 한국협력연락사무소를 유치한 바 있으며, 이들 국제기구는 UNFCCCC 하에서 각각 재정 메커니즘과 기술 메커니즘의 주요 축으로 역할을 하고 있음.
❍ 이에 이 연구는 UNFCCC의 전반적인 체계와 프로세스, 주요 기구별 역할과 기능 등에 대한 검토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협력 기반 조성 및 관내 기업 해외진출 지원 측면에서 관내 기후기술 보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및 육성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임.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2] 유엔기후변화협약 체계를 통한 글로벌 협력
1. 유엔기후변화협약 개요
2. 유엔기후변화협약 체계를 통한 글로벌 협력
3. 소결
[3] 개도국의 기후기술 수요 및 인천의 공급 여건
1. 기후기술의 종류
2. 개도국의 기후기술 수요
3. 인천의 기후기술 공급 여건
[4] 기후변화 관련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기업 해외진출 지원 대책 및 사업
1. 중앙정부 지원 대책 및 사업
2. 서울시 녹색산업 육성 지원사업
3. 시사점
[5] 결론
1. 연구 요약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방법
[2] 유엔기후변화협약 체계를 통한 글로벌 협력
1. 유엔기후변화협약 개요
2. 유엔기후변화협약 체계를 통한 글로벌 협력
3. 소결
[3] 개도국의 기후기술 수요 및 인천의 공급 여건
1. 기후기술의 종류
2. 개도국의 기후기술 수요
3. 인천의 기후기술 공급 여건
[4] 기후변화 관련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기업 해외진출 지원 대책 및 사업
1. 중앙정부 지원 대책 및 사업
2. 서울시 녹색산업 육성 지원사업
3. 시사점
[5] 결론
1. 연구 요약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