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제물포르네상스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을 위한 실천대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2.01 ~ 2023.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에서는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가 미래 인천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 및 인재의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원도심으로서 잠재력을 활용하여 지식경제시대에 지역발전모델로 등장한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 형성’이라는 새로운 실천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는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가 미래 인천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 및 인재의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원도심으로서 잠재력을 활용하여 지식경제시대에 지역발전모델로 등장한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 형성’이라는 새로운 실천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의 이해
1. 도시형 혁신공간의 등장
2. 도시형 혁신공간의 구성요소 및 형성모델
3. 도시형 혁신공간에서의 공간전략 관련 이론 검토
4. 소결
[3] 국내외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 사례 및 특성 분석
1. 조사개요
2. 국외 사례
3. 국내 사례: 성수동 산업개발진흥지구
4. 시사점
[4]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 실천과제: 공간전략을 중심으로
1.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이해
2. 지역 현황 및 여건 분석
3. 제물포르네상스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의 기본방향
4. 실천과제
[5]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의 이해
1. 도시형 혁신공간의 등장
2. 도시형 혁신공간의 구성요소 및 형성모델
3. 도시형 혁신공간에서의 공간전략 관련 이론 검토
4. 소결
[3] 국내외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 사례 및 특성 분석
1. 조사개요
2. 국외 사례
3. 국내 사례: 성수동 산업개발진흥지구
4. 시사점
[4]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 실천과제: 공간전략을 중심으로
1.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이해
2. 지역 현황 및 여건 분석
3. 제물포르네상스 도시형 혁신공간 조성의 기본방향
4. 실천과제
[5] 결론 및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