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내항 일대 수변공간 가치창출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방향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2.01 ~ 2023.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연구는 인천내항 전체와 주변지역의 수변공간에 대한 역사, 문화, 건축 등의 고유 가치를 도출하고, 이들 공간을 상호 연계하여 창의적인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 본 연구는 내항기능이전을 전제로 하여 타당성 등 실행가능성을 포함하지 않고, 인천시가 추진 중인 제물포르네상스프로젝트의 정책방향성 제안에 초점이 맞추어짐
❍ 연구는 인천내항 전체와 주변지역의 수변공간에 대한 역사, 문화, 건축 등의 고유 가치를 도출하고, 이들 공간을 상호 연계하여 창의적인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 본 연구는 내항기능이전을 전제로 하여 타당성 등 실행가능성을 포함하지 않고, 인천시가 추진 중인 제물포르네상스프로젝트의 정책방향성 제안에 초점이 맞추어짐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흐름
[2] 해양친수공간 및 사례 고찰
1. 해양친수공간 고찰
2. 해양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구성 요소
3. 항만 관련 해양친수공간조성 국내외 사례
4. 시사점
[3] 인천내항 일대 공간적 가치 분석
1. 인천내항 및 주변지역 특성
2. 인천내항 친수공간의 가치창출 요소 분석
[4]인천내항 일대 친수공간 조성방향
1.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과 공간구상
2. 내항의 가치창출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방향
3. 소월미도 및 연안부두 가치창출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방향
[5] 정책제언
1.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흐름
[2] 해양친수공간 및 사례 고찰
1. 해양친수공간 고찰
2. 해양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구성 요소
3. 항만 관련 해양친수공간조성 국내외 사례
4. 시사점
[3] 인천내항 일대 공간적 가치 분석
1. 인천내항 및 주변지역 특성
2. 인천내항 친수공간의 가치창출 요소 분석
[4]인천내항 일대 친수공간 조성방향
1.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과 공간구상
2. 내항의 가치창출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방향
3. 소월미도 및 연안부두 가치창출을 위한 친수공간 조성방향
[5] 정책제언
1.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