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지자체 정책 활용성 효과 제고를 위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의 진단 방법론 및 절차 개선방안 제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2.01 ~ 2023.11.30
- 연구유형
센터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인천광역시의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과 지역 현황을 반영할 수 있는 상세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료 확보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 방법 및 절차가 필요함
❍ 기후변화가 인천광역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와 관련성 높은 정책 도출 및 정책 효과 분석을 위해 지자체 규모에서 정책에 활용 가능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 방법 및 절차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임
❍ 인천광역시의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과 지역 현황을 반영할 수 있는 상세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료 확보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 방법 및 절차가 필요함
❍ 기후변화가 인천광역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와 관련성 높은 정책 도출 및 정책 효과 분석을 위해 지자체 규모에서 정책에 활용 가능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 방법 및 절차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임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 방법 및 절차
1. 기후변화 영향 분석의 법적 근거 및 방법
2. 기후변화 영향 분석의 사례
3. 지역 리스크 도출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 방법 고찰 및 시사점
[3]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방법 개선방안
1.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방법 개선방안 개요
2.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방법 개선 및 공간자료 구축
3.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공간화에 따른 정책적 고려사항
[4]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정책 제언
1. 지역기반 공간자료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폭염 관련 영향 분석 진단
2.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공간화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제언
[5] 결론 및 고찰
1. 연구 결과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 방법 및 절차
1. 기후변화 영향 분석의 법적 근거 및 방법
2. 기후변화 영향 분석의 사례
3. 지역 리스크 도출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 방법 고찰 및 시사점
[3]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진단방법 개선방안
1.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방법 개선방안 개요
2. 기후변화 영향 분석 진단방법 개선 및 공간자료 구축
3.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공간화에 따른 정책적 고려사항
[4] 기후변화 영향 분석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정책 제언
1. 지역기반 공간자료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폭염 관련 영향 분석 진단
2.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공간화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제언
[5] 결론 및 고찰
1. 연구 결과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