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모델 연구 : 중동구를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3.01 ~ 2023.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인천 내항이 위치한 중·동구 일대는 개항 이후로 공공, 업무, 상업 등 각종 도시기능이 형성되고 집중했던 도심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근대 역사문화자원이 다수 분포하게 됨.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분산정책에 따른 외곽지역의 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감소와 함께 도시기능은 점차 쇠퇴하였으며, 쇠퇴한 원도심 노후주거지를 개선하려는 정비사업과 재생사업이 지속하여 진행하고 있음
❍ 이러한 노후 시가지의 물리적 환경 정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멸실과 훼손 문제가 발생하면서 고유 자산의 보전과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동구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을 유도하면서, 물리적으로 쇠퇴한 저층주거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인천 내항이 위치한 중·동구 일대는 개항 이후로 공공, 업무, 상업 등 각종 도시기능이 형성되고 집중했던 도심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근대 역사문화자원이 다수 분포하게 됨.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분산정책에 따른 외곽지역의 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감소와 함께 도시기능은 점차 쇠퇴하였으며, 쇠퇴한 원도심 노후주거지를 개선하려는 정비사업과 재생사업이 지속하여 진행하고 있음
❍ 이러한 노후 시가지의 물리적 환경 정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멸실과 훼손 문제가 발생하면서 고유 자산의 보전과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동구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을 유도하면서, 물리적으로 쇠퇴한 저층주거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3.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의 실천적 의미
[2] 역사문화자원 보전과 주거지정비 제도 분석
1. 역사문화자원 보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
2. 주거지정비와 도시재생 관련법 검토
3. 관련 제도 분석 종합
[3] 역사문화자원과 주거지정비와의 쟁점
1. 역사문화자원 현황과 특성
2. 도시정비사업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 실태
3. 역사문화자원과 주거지정비와의 상충
[4]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모델 구상
1.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방향
2. 역사문화자원 유형별 관리지침 수립
3.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가이드라인 제공
4. 행·재정 지원체계 구축
[5] 결론
1. 연구결과 종합
2. 정책제언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3.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의 실천적 의미
[2] 역사문화자원 보전과 주거지정비 제도 분석
1. 역사문화자원 보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
2. 주거지정비와 도시재생 관련법 검토
3. 관련 제도 분석 종합
[3] 역사문화자원과 주거지정비와의 쟁점
1. 역사문화자원 현황과 특성
2. 도시정비사업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 실태
3. 역사문화자원과 주거지정비와의 상충
[4]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모델 구상
1.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방향
2. 역사문화자원 유형별 관리지침 수립
3.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가이드라인 제공
4. 행·재정 지원체계 구축
[5] 결론
1. 연구결과 종합
2.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