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육복지
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성과분석 및 지속가능성 방향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3.01 ~ 2023.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의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성과를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대상자 가구의 만족도 분석, 기부금을 후원하는 민간기업·단체 관계자 및 전문기술의 재능나눔을 실시하는 단체의 의견수렴, 센터 관계자와의 논의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방향을 찾고자 함.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의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성과를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대상자 가구의 만족도 분석, 기부금을 후원하는 민간기업·단체 관계자 및 전문기술의 재능나눔을 실시하는 단체의 의견수렴, 센터 관계자와의 논의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방향을 찾고자 함.
연구목차
[1]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진행의 흐름도
[2]자원봉사 패러다임의 변화와 ESG
1. 자원봉사 패러다임의 변화
2. 기업의 ESG 경영과 지역사회 공헌
[3]‘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성과 분석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성과 분석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완료가구 인구사회학적 분석
[4]‘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민간기업·단체 후원 및 전문인력 재능나눔 분석
1. 민간기업·단체의 후원
2. 전문인력의 재능나눔
[5]‘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만족도 및 발전 방향 설문조사 분석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만족도 및 발전 방향 설문조사 개요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완료가구의 만족도 분석
3.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기부금 후원기업 대상 설문조사
4.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재능나눔 단체 대상 설문조사
[6]결론: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환경변화와 적응전략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진행의 흐름도
[2]자원봉사 패러다임의 변화와 ESG
1. 자원봉사 패러다임의 변화
2. 기업의 ESG 경영과 지역사회 공헌
[3]‘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성과 분석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성과 분석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완료가구 인구사회학적 분석
[4]‘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민간기업·단체 후원 및 전문인력 재능나눔 분석
1. 민간기업·단체의 후원
2. 전문인력의 재능나눔
[5]‘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만족도 및 발전 방향 설문조사 분석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만족도 및 발전 방향 설문조사 개요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완료가구의 만족도 분석
3.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기부금 후원기업 대상 설문조사
4.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재능나눔 단체 대상 설문조사
[6]결론: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1.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환경변화와 적응전략
2.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