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인천형 아트옥션 도입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0
- 연구기간
2020.08.01 ~ 2020.12.3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는 ‘미술진흥 중장기계획(2018~2022)’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술시장 만들기를 위한 추진전략 및 과제를 발표하였고, 특히 큰 성장세를 보이는 미술품 경매시장의 제도를 보완하여 미술품 소비층의 확대를 유도할 계획임
❍ 한편, 2018년 기준으로 주요 미술품 유통 영역인 국내 화랑의 56.5%와 경매회사의 80.0%가 서울에 있으나 인천에는 단 한 곳의 경매회사도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개최된 53개의 아트페어 중 단 세 개 만이 인천에서 개최됨
❍ 이와 같은 인천시의 열악한 미술품 유통 여건은 지역으로의 예술인 유입과 미술품에 대한 수요 창출을 제약하는 요인임
❍ 따라서 미술품에 대한 다양한 수요의 창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인프라 구축에 대한 초기비용이 비교적 적게 요구되는 대안으로서 공공이 지원하는 미술품 경매시장을 도입해 인천시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함
❍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목적으로 수행 됨.
- 아트옥션 도입 여건으로서 인천시 미술시장의 여건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임
- 국내·외의 미술품 경매 및 미술시장 활성화 사업 사례를 발굴·분석하고 인천시 아트옥션 도입방안 마련에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임
- 아트옥션 도입을 계기로 인천시 미술시장의 주요 유통 영역과 공공 유통 영역을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는 ‘미술진흥 중장기계획(2018~2022)’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술시장 만들기를 위한 추진전략 및 과제를 발표하였고, 특히 큰 성장세를 보이는 미술품 경매시장의 제도를 보완하여 미술품 소비층의 확대를 유도할 계획임
❍ 한편, 2018년 기준으로 주요 미술품 유통 영역인 국내 화랑의 56.5%와 경매회사의 80.0%가 서울에 있으나 인천에는 단 한 곳의 경매회사도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개최된 53개의 아트페어 중 단 세 개 만이 인천에서 개최됨
❍ 이와 같은 인천시의 열악한 미술품 유통 여건은 지역으로의 예술인 유입과 미술품에 대한 수요 창출을 제약하는 요인임
❍ 따라서 미술품에 대한 다양한 수요의 창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인프라 구축에 대한 초기비용이 비교적 적게 요구되는 대안으로서 공공이 지원하는 미술품 경매시장을 도입해 인천시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함
❍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목적으로 수행 됨.
- 아트옥션 도입 여건으로서 인천시 미술시장의 여건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임
- 국내·외의 미술품 경매 및 미술시장 활성화 사업 사례를 발굴·분석하고 인천시 아트옥션 도입방안 마련에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임
- 아트옥션 도입을 계기로 인천시 미술시장의 주요 유통 영역과 공공 유통 영역을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