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1.18 ~ 2021.07.3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원도심 역세권은 잠재력이 높은 공간이지만 도로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노후화되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권역이 존재. 원도심 균형 발전을 위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필요
❍ 이에, 대표적인 원도심 역세권에 대해 특성을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 마련하고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음.
❍ 원도심 역세권은 잠재력이 높은 공간이지만 도로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노후화되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권역이 존재. 원도심 균형 발전을 위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필요
❍ 이에, 대표적인 원도심 역세권에 대해 특성을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 마련하고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음.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의 개념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선행 연구 및 관련 제도
1. 역세권 관련 연구 검토
2. 관련 제도 검토
[3] 원도심 역세권 현황
1. 원도심 역세권 대상지
2. 원도심 역세권 인구, 종사자 변화
3. 원도심 역세권 토지이용 현황
4. 역세권 건축물 현황
5. 원도심 역세권 관련 개발 현황
6. 소결
[4]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1.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방향
2. 역세권 범위의 설정
3. 대상지 결정 기준
4. 인천시 역세권 활성화 조례에 포함할 사업유형
5. 구역설정 세부 기준
6. 역세권 활성화사업 지원과 공공기여
7. 소결
[5] 결론과 향후 과제
1. 결론
2. 향후 과제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의 개념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선행 연구 및 관련 제도
1. 역세권 관련 연구 검토
2. 관련 제도 검토
[3] 원도심 역세권 현황
1. 원도심 역세권 대상지
2. 원도심 역세권 인구, 종사자 변화
3. 원도심 역세권 토지이용 현황
4. 역세권 건축물 현황
5. 원도심 역세권 관련 개발 현황
6. 소결
[4]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1.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방향
2. 역세권 범위의 설정
3. 대상지 결정 기준
4. 인천시 역세권 활성화 조례에 포함할 사업유형
5. 구역설정 세부 기준
6. 역세권 활성화사업 지원과 공공기여
7. 소결
[5] 결론과 향후 과제
1. 결론
2. 향후 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