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육복지
인천시 공공부문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조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6.01 ~ 2021.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산업안전보건법」개정으로 감정노동자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감정노동자에 대한 인권침해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체계적 보호 방안이 미흡한 실정임
❍ 인천시는 2020년 10월 「인천시 감정노동 종사자의 권리 보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으나 실질적인 정책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임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 부분을 중심으로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 조사 와 사례조사를 통해서 감정노동자 권익 보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산업안전보건법」개정으로 감정노동자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감정노동자에 대한 인권침해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체계적 보호 방안이 미흡한 실정임
❍ 인천시는 2020년 10월 「인천시 감정노동 종사자의 권리 보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으나 실질적인 정책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임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 부분을 중심으로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 조사 와 사례조사를 통해서 감정노동자 권익 보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감정노동 관련 문헌 및 제도
1. 감정노동 개념 정의
2. 선행연구 고찰
3. 감정노동 관련 제도 현황
4. 시사점
[3]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조사 분석 결과
1. 조사 개요
2.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4. 변인 간 관계 분석
5. 요약 및 시사점
[4] 사례조사
1. 조사 개요
2. 서울시 감정노동종사자 권리보호센터
3. 대전시 노동권익센터
4. 시사점
[5] 정책 제언
1. 기본 방향
2. 정책 방안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감정노동 관련 문헌 및 제도
1. 감정노동 개념 정의
2. 선행연구 고찰
3. 감정노동 관련 제도 현황
4. 시사점
[3]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조사 분석 결과
1. 조사 개요
2.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4. 변인 간 관계 분석
5. 요약 및 시사점
[4] 사례조사
1. 조사 개요
2. 서울시 감정노동종사자 권리보호센터
3. 대전시 노동권익센터
4. 시사점
[5] 정책 제언
1. 기본 방향
2. 정책 방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