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표지_정책_황희정_영종복합리조트.jpg

문화관광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4

  • 연구기간

    2024.04.15 ~ 2024.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지역관광 성장의 전환기를 맞이한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방안 마련 필요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

복합리조트가 세계관광의 신성장동력으로 등장한 가운데, 인천 영종지역은 복합리조트의 개장·운영으로 지역관광 성장의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복합리조트 중심의 소비 쏠림현상 및 교통대란 등이 우려되는 가운데, 지역에서는 복합리조트 내 대규모 점포 입점에 따른 상권 피해, 카지노시설의 주민지원기금 부재 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영종지역 일대의 동반성장을 위해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이해 및 상생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상황이다.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방안 도출을 위해
관련 개념·정책 검토, 전문가·관계자 의견 수렴, 데이터 전문기관 분석 협력

인천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개념, 관련 법·제도, 정부 및 타 지자체의 정책 동향,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관련 문헌자료를 검토하였다.

복합리조트 및 카지노업과 관련하여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고, 영종 복합리조트 관계자와 상인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데이터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신용카드 및 이동통신 정보를 활용한 관광객 행태를 분석하고, 영종 복합리조트 개장에 따른 지역의 현황 및 여건 변화를 객관적으로 진단하였다.


지역의 변화와 요구

복합리조트 개장 전·후 영종지역의 중심관광지는 지역 상권(을왕리해수욕장) 에서 복합리조트(파라다이스시티·인스파이어)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래관광객 소비 증가효과와 지역별·업종별 편중현상이 상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분절적 관계를 해소하고, 상대적으로 미흡한 복합리조트의 낙수효과를 확대 창출하기 위한 장치를 보완·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복합리조트를 둘러싼 지역이슈를 개선하고,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사업을 제시하였다.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제안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상생 방향은 복합리조트와 지역 상호 간 의무, 상생사업 추진구조, 지자체의 역할·권한에 따른 단계별 대응책 등의 전제를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 간 상생 방향은 영종도의 글로벌 거점성에 기반하여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The First Destination) 위상 확보를 위한 지역발전 선순환체계 구축’으로 설정하고, ▲상생형 핵심상권 조성, ▲상생·공존형 관리·이행체계 구축, ▲지역상생 정책의 추진기반 마련 등 전략별을 제안하였다.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3. 연구 수행절차

[2]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동향
1.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개념
2.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관련 정부 정책 동향
3. 타지역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정책 동향

[3]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현황 및 여건
1. 영종 복합리조트 현황
2.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정책
3. 영종 복합리조트 개장에 따른 영종관광 변화 분석
4. 영종 복합리조트를 둘러싼 주요 이슈
5. 종합 및 시사점

[4] 영종 복합리조트와 지역의 상생 방향 및 과제
1. 기본방향
2. 정책과제 제안

[5]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