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표지_2024_센터기획_조경두부찬종_온실가스인벤토리업데이트.jpg

환경안전

인천지역 읍면동 단위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인벤토리 업데이트(2024)

  • 연구자
  • 발행년도

    2024

  • 연구기간

    2024.03.01 ~ 2024.12.31

  • 연구유형

    센터기획

연구개요

읍면동 단위 온실가스, 대기오염 물질 배출 인벤토리 업데이트(2024)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의 통합 관리에 대한 필요

인천광역시는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 감축 상향, 2050년에는 2018년 대비 배출량 88% 감축하는 시나리오 등 확정하고 인천광역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노력하였다.
UNFCCC는 주요 대기오염물질을 간접온실가스로 규정하면서 두 물질의 연관성과 통합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종합정책이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에 연구에서는 지역활동 자료를 기반하여 인천지역 실정에 맞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업데이트하고, 지역별 지도 작성 및 공간특성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국가 차원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역 단위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으로 이에 지자체 탄소중립 배출량 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지역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배출량 산정을 위한 자료 수집이 요구되었다.
에너지 수요중심의 건물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국가에서 제공하는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의 2021년 자료를 지역 통계 및 배출업소, 유관기관 자료들을 활용하여 배출량 배분하여 지도를 제시하였다.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지도

온실가스는 건물부문 배출량 활용하여 도시가스, 전력, 지역난방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지도는 PM2.5. SOX, NOX, CO배출량 등을 군구별과 읍면동 배출량 지도를 제시하였고, 배출밀도를 인구1인당 및 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2]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1.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2. 인천광역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3] 인천광역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 인천광역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2. 인천광역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3. 대기오염물질 읍면동 배출량 배분방법
4. 인천광역시 대기오염물질 읍·면·동 배분결과

[4]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지도
1. 온실가스 배출량 지도
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지도

[5] 결론
1. 결론 및 한계점
2. 정책제언 및 향후과제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기타연구활동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