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Ⅰ. 연구배경 및 목적
▣ 도시내에 심어진 나무들이 더 울창하기 자라기 위해서는 질 좋은 퇴비가 매년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함
▣ 봄철에 전정으로 발생하는 나무가지와 가을에 모아진 낙엽을 발효시켜 퇴비를 만들어 활용함으로서 자원순환과 함께 폐기물 처리비용 절감
Ⅱ. 연구내용
▣ 전정된 가지로 톱밥 발효퇴비 제조
⊙유기물(톱밥)을 발효시켜 퇴비를 만들면 토양 속에서 나무가 필요로 하는 영양을공급하는 동시에 양분을 보관하는 집 역할(보비력)을 하는 부식(내구부식)을 제공함
⊙ 결과적으로 조경수 식재지의 땅심(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땅의 힘)을 키우게 됨
▣ 낙엽 발효퇴비 제조
⊙ 톱밥 발효퇴비와 유사한 방식으로 낙엽 발효퇴비 제조 가능
▣낙지(톱밥)과 낙엽 발효퇴비를 멀칭재로 사용
⊙ 멀칭(다양한 재료로 흙을 덮어 줌)은 잡초발생 억제, 토양 미생물 생장 촉진 등 다양한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일반적인 인식은 부족함
Ⅲ. 정책제언
① 녹지관리사업소에서 톱밥 발효퇴비와 낙엽 발효퇴비 생산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과정상의 문제점(악취 등) 우선 파악
② 자치구별 낙엽 및 낙지(落枝) 퇴비화 시설, 장비 구비
③ 대형 공원에서 멀칭 효과 비교 검토
문제제기
⊙ 봄에 발생하는 낙지(전정가지)와 가을에 발생하는 낙엽을 도시의 자원으로 재활용하여야 함
⊙ 낙지(전정가지)를 톱밥형태로 파쇄하여 톱밥 발효퇴비를 만들고 낙엽도 발효시켜 발효퇴비를 만들어 활용하여야 함
⊙ 공원 및 녹지대, 아파트 단지 등에 식재된 나무들이 나무마다의 고유 잠재 성장량만큼 자라기 위해서는 토양이 더 좋아져야 함.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발효퇴비임
⊙ 퇴비라고 하면 농사짓는데 활용하는 것으로만 생각할 수 있으나 녹지대 수목을 위한 멀칭재로 활용할 경우 더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음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