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기초과제로 수행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성과관리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PM사업제도에대하여시공무원대상으로인식조사를실시하였음
⊙ 내부 인트라망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2주간 실시(5.23-6.7)한 결과 총 901명이참여하였음
⊙ 응답 결과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중앙집중화가 심하였으나(5점 척도에서 ‘보통’ 으로응답한사람이많았음),몇가지의미있는결과가도출됨
⊙ 시 공무원들은 PM 사업 운영에 대하여 시장의 관심도가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PM사업평가결과를차년도정책방향설정에반영하고있음
⊙ 시 공무원들은 조직관리, 성과보상, 예산반영에 대하여 PM 사업의 결과 활용이 되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있음
⊙ 시 공무원들은 PM 사업제도에 있어서 성과지표 설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PM계획수립시체계성과논리성은약하다고생각하고있음
⊙ PM 사업제도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임. 또한, 개인의 역량 강화와 PM사업제도를연계시키지못하고있음
⊙ 따라서 PM 사업제도가 성과관리제도 자체나 각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향후 조사 결과에 대하여 직급별, 업무 연수별, 부서의 성격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뷰 등을 병행 실시할 예정임
문제제기
⊙ PM 사업제도는 인천광역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일한 성과관리제도로 2010년 이전부터 실시되어 자체적인 발전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음
⊙ 평가 대상 과제가 적을 때는 190개(2015년) 정도였으며, 현재 2016년에는 569개의 과제에 대하여 평가 대상을 확대한 바 있음
⊙ 이러한 PM 사업제도의 운영에 대하여 공무원들의 인식조사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PM 사업제도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음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