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슈브리프

지역경제

자동차산업에서 제조·서비스 융합 경향과 정책적 시사점

  • 연구자
  • 발행년도

    2016

  • 연구유형

    현안

  • 등록일

    2016-12-09

내용

Executive Summary

최근 제조업은 수요반응형 생산시스템으로 진화하면서 생산공정이 다양한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와 복합적으로 결합되는 산업가치사슬 구조로 변화되고 있음 자동차산업은 이러한 제조 서비스의. 융합이 가장 선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산업 중 하나임
자동차 생산 부문에서는 시험 인증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 자동차 판매 부문에서는 완성차업체들이 단순한 판매가 아닌 보험 금융 리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차발표회나 모터쇼 등 컨벤션 형식의 자동차서비스업이 부상하고 있음 자동차 이용 부문에서는 정비 및 해체재활용을 중심으로 자동차관리업이 고부가가치형 에프터마켓으로 전환되고 있음 뿐 만 아니라 자동차를 테마로 한 관광서비스 및 네트워크기술을 활용한 모빌리티서비스 등의 새로운 자동차서비스산업이 등장하고 있음
인천의 자동차서비스업은 분야별로 다른 강점과 약점을 보이고 있음 자동차 생산 부문에서는 시험·인증·엔지니어링 서비스가 수요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으로 공급되고 있음 자동차 판매 부문에서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거대 중고차 수출시장의 형성되어 있지만 저부가가치형 중고차 사업 관행이 고착화되어 있음 컨벤션형 자동차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신차발표회와 같은 중소규모 컨벤션에 강점을 나타냄 자동차 에프터마켓의 경우, 자동차물류클러스터가 원활히 조성 되면 고부가가치화의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판단됨 또한 인천은 자동차 관련 관광자원이 비교적 풍부함 다만 이러한 관광자원들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시너시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
인천의 자동차제조업과 자동차서비스업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키려면

① 자동차부품 시험·인증·엔지니어링 전문기관 유치

② 자동차물류클러스터의 원활한조성

③ 인천의 자동차 마케팅 명소화

④ 자동차 관련 관광산업의 체계적 육성 등이 필요함

 

문제제기
⊙ 제조업 분야에서 제조와 서비스의 융합이 진전되면서 어떠한 서비스와 함께 물리적 제품이 공급되는가가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
⊙ 제조와 서비스의 융합은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자동차제조와 자동차서비스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수립해야 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