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평생교육 여건 및 참여 현황
⊙ 평생교육의 양적 여건은 양호한 편이나, 인천평생교육진흥원이 독립된 재단이 아니라는 점은 여전히 인천평생교육의 발전에 걸림돌이 됨
⊙평생교육 참여자가 많은 지역은 남동, 연수, 서구이며, 지역별 참여율이 높은 지역은 동구, 연수, 계양인데 비해 낮은 지역은 중구, 부평임
⊙남성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구, 남동구이며, 여성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부평, 연수, 남구임
⊙지역별 평생교육 참여의 격차는 크게 나지 않지만, 참여율이 낮은 지역의 참여율을 제고하면서도 성별 참여율을 고려한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함
⊙성인 대상 프로그램 수에 비해 성인참여자의 비율은 낮고, 노인 대상 프로그램수에 비해 노인참여자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고령사회를
예상해 볼 때 노인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
▣ 인천시 인구 및 산업구조 환경
⊙강화, 옹진, 동구, 남구, 중구 등은 노인인구의 비율도 높고 여성인구의 비율도 높으며, 장애인 인구의 비율도 높은 지역으로, 지역별 인구 구성
의 특징을 고려한 평생교육 특화 사업들이 필요함
⊙ 다문화인구의 경우 중구, 남동구, 서구에서 비율이 높으므로, 이들 지역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평생교육 특화 사업들이 필요함
⊙인천의 경우 서비스, 판매직의 비중이 높고, 중하위 소득계층과 저소득층의 비중이 높으므로, 이들을 위한 계속교육 및 직업숙련교육 등이 필
요할 것으로 보임
⊙단순노무직이나 실업자 주부 등을 , 위한 평생교육 또한 강화되어야 할것임
▣ 평생교육 추진 방향
⊙평생교육 허브 기관으로서의 인천평생교육진흥원의 위상 및 역할 강화
⊙평생교육 참여의 양적 팽창에 걸맞는 질적 제고 필요: 실질적인 참여 이수율을 높이고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과 참여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모색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적 제고 필요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의 이행에 대비하는 평생교육 필요
⊙지역별 인구 구성의 특징을 고려하는 평생교육 특화사업 추진
⊙지역별, 직종별, 계층별 요구를 고려하는 평생교육 추진
문제제기
⊙ 평생교육의 경우 미래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지역적 환경 변화 추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 지역에 적합한 평생교육을 준비하기위해서는인천지역의인구학적,산업구조적환경에대한면밀한분석이요구됨
⊙ 인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평생교육의 쟁점과 이에 대비하는 평생교육의 방향 모색이 필요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