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슈브리프

교육복지

인천 지역환경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의 쟁점과 방향

  • 연구자
  • 발행년도

    2016

  • 연구유형

    현안

  • 등록일

    2016-12-09

내용

Executive Summary

평생교육 여건 및 참여 현황
⊙ 평생교육의 양적 여건은 양호한 편이나, 인천평생교육진흥원이 독립된 재단이 아니라는 점은 여전히 인천평생교육의 발전에 걸림돌이 됨
⊙평생교육 참여자가 많은 지역은 남동, 연수, 서구이며, 지역별 참여율이 높은 지역은 동구, 연수, 계양인데 비해 낮은 지역은 중구, 부평임
⊙남성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구, 남동구이며, 여성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부평, 연수, 남구임
⊙지역별 평생교육 참여의 격차는 크게 나지 않지만, 참여율이 낮은 지역의 참여율을 제고하면서도 성별 참여율을 고려한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함
⊙성인 대상 프로그램 수에 비해 성인참여자의 비율은 낮고, 노인 대상 프로그램수에 비해 노인참여자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고령사회를
예상해 볼 때 노인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
인천시 인구 및 산업구조 환경
⊙강화, 옹진, 동구, 남구, 중구 등은 노인인구의 비율도 높고 여성인구의 비율도 높으며, 장애인 인구의 비율도 높은 지역으로, 지역별 인구 구성
의 특징을 고려한 평생교육 특화 사업들이 필요함
⊙ 다문화인구의 경우 중구, 남동구, 서구에서 비율이 높으므로, 이들 지역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평생교육 특화 사업들이 필요함
⊙인천의 경우 서비스, 판매직의 비중이 높고, 중하위 소득계층과 저소득층의 비중이 높으므로, 이들을 위한 계속교육 및 직업숙련교육 등이 필
요할 것으로 보임

단순노무직이나 실업자 주부 등을 , 위한 평생교육 또한 강화되어야 할것임
평생교육 추진 방향
⊙평생교육 허브 기관으로서의 인천평생교육진흥원의 위상 및 역할 강화
⊙평생교육 참여의 양적 팽창에 걸맞는 질적 제고 필요: 실질적인 참여 이수율을 높이고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과 참여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모색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적 제고 필요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의 이행에 대비하는 평생교육 필요
⊙지역별 인구 구성의 특징을 고려하는 평생교육 특화사업 추진
⊙지역별, 직종별, 계층별 요구를 고려하는 평생교육 추진

 

문제제기
평생교육의 경우 미래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지역적 환경 변화 추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 지역에 적합한 평생교육을 준비하기위해서는인천지역의인구학적,산업구조적환경에대한면밀한분석이요구됨
인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평생교육의 쟁점과 이에 대비하는 평생교육의 방향 모색이 필요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