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최근 대형마트 및 SSM 신설 증가, 온라인 구매 확대, 동네슈퍼 감소가 일상용품 구매 행위의 특징적인 추세가 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식 구매행위에 익숙하지 않으며 동네슈퍼와 전통시장 의존도가 높은 노령층 소비자에게는 최근의 소비시장 추세가 이들의 구매 불편을 가중하고 있은 상황임
⊙ 따라서 인천거주 노령층의 소비편의를 제고하기 위하여 노인소비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노인들의 구매특성을 반영한 노인소비도우미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선호하는 제품의 구매, 단종 제품에 대한 대체품 소개, 신제품 사용법등을 교육, 지원)할 필요성이 증가. 또한 대형마트 및 복합쇼핑몰 관련 논의에서 소외되어 있는 노인들의 소비관련 이해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인천시가 관련 기관에 적극 권고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하여 인천시 노인정책과와 인천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중심이 되어 관련 정책을 수행하거나 사회적기업신설을 유도하여 대형마트 및 복합쇼핑몰의 확대 추세에서 그 혜택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사회적·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된 노인소비자에게 소비증진지원서비스 제공할 것을 제안.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 신설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음
문제제기
⊙ 대형마트 및 SSM 신설 증가, 온라인 구매 확대, 소규모 소매상점(동네슈퍼) 감소가 일상용품 구매 행위의 특징적인 추세가 되고 있음
⊙ 구매 점포가 대형화, 다양화 되고 소비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다양한 소비행위가 가능해지면서 소비자의 선택권과 구매편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마트, SSM, 온라인 구매와 같은 현대식 구매행위에 익숙하지 않으며 동네슈퍼와 전통시장 의존도가 높은 노령층 소비자에게는 최근의 소비시장 추세가 구매 불편을 가중하고 있은 상황임
⊙ 이러한 상황에서 노령층의 일상용품 구매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제도를 제안하고자 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