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인천국제공항 개항(2001), 인천 경제자유구역 지정(2003) 등에 따라 인천 시정에서 차지하는 관광정책의 비중과 역할이 확대되어 옴. 최근에는 도시재생 뉴딜, 원도심 활성화 사업 추진 등에 따라 지역자산 활용과 관계된 관광정책의 역할론이 주목되고 있음
⊙ 한국 관광의 구조에서 차지하는 인천 관광의 비중(2017년 기준)은 국내관광객 총량 점유율 3.1%, 외래관광객 방문비율 10.0%, 관광사업체 비중 3.1%, 관광사업체 종사자 비중 2.6% 수준임, 인천국제공항 및 수도권 배후시장으로 대표되는 인천시의 입지 강점과 발전 잠재력을 가시화하는 실효성있는 관광정책의 방향 설정 및 정책수단이 필요한 상황임
⊙ 과거 양적 확대, 하드웨어 중심, 경제적 효과 중심의 지역관광 발전 기조는 질적 수준 제고, 하드웨어·소프트웨어·휴먼웨어 조화, 지속가능한 발전을 중시하는 형태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의 지역관광 정책방향은 통합적 관점의 지원을 통한 지역관광 경쟁력 향상, 지역이 주도하는 관광정책, 관광 일자리를 통한 지역 경제 성장을 주목하고 있음
⊙ 향후 인천시의 미래 관광정책은 관광 발전 잠재력 극대화와 정책환경 변화와의 정합성이라는 측면에서 ‘양적 성장·경제적 가치와 질적 발전·사회문화적 가치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관광정책의 추구 가치를 토대로 관광정책 영역, 관광정책 추진체계, 관광정책 효과 등에 대한 인천시 관광정책 관점의 전환과 확장이 필요함.
⊙ 인천시의 미래 관광정책 과제는 관광환경 및 여건 변화, 지역관광정책 주요 이슈, 인천시의 주요 여건 변화에 영향을 받음.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관광자원 개발, 관광마케팅 및 수용태세 개선, 관광산업 및 관광주체 육성, 마이스산업 육성 부문별로 미래 관광정책의 주요 과제를 제안함
⊙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관광정책 과제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는 관광정책 주체의 전문성 강화와 연계·협력 체계 구축, 관광예산의 실질적 투입과 안정적인 관광정책 수단 개발, 자치법규를 통한 관광정책의 제도적 안정성 보완, 관광계획 체계의 정비 및 실효성 강화 등 인천시 관광정책의 추진 기반이 정비될 필요가 있음
문제제기
⊙ 관광정책을 둘러싼 거시 환경과 관광트렌드 변화로 지역관광의 새로운 현상과 이슈가 등장하고 있으며, 관광공급 및 관광시장의 니즈 변화에 따라 지역관광정책 방향 및 지역관광 주체의 역할 변화가 필요한 상황임.
⊙ 정부의 관광정책 기조가 경제적인 성과 중심에서 국민, 지역주민, 방한 관광객 등 사람 중심의 관광정책으로 전환되었으며, 국가균형발전 비전을 뒷받침하는 관광정책의 방향성은 지역자산을 활용한 특색있는 관광 육성에 초점이 맞추어짐
⊙ 인천시 차원에서는 민선7기 시정 과제와 연계하여 인천시 관광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관광환경 변화 및 국가 관광정책과의 정합적인 측면에서 인천시 미래 관광정책의 방향 설계가 필요함. 이 글은 심진범·김지선(2018)의 ‘2018 인천 점검, 도약을 위한 제언: 관광정책 분야’에서 발췌하고 최근 통계 자료를 보완하여 작성한 것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