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송도지구는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시 송도 6·8공구내 바닷물 유입 등을 통한 친수계획을 시작으로 2008년 송도 11공구의 조류대체서식지 조성 확정에 따라 11공구내 수변공간계획을 통하여 송도지구 전체에 대한 수공간의 통합 적 유지관리방안의 문제가 제기됨
⊙ 북측수로의 수질오염과 센트럴파크 호수내 해초류 발생 등으로 인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6·8공구 호수, 11공구 수변공간, 남측수로 등의 수질과 수공간의 통합적 관리 문제로 인하여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 용역을 시행함
⊙ 2012년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 검토 후 사업추진 중 경제청 감사, 타당성조사 재실시 등 절차보완으로 인하여 2017년까지 답보상태에 이름
⊙ 타당성 조사 재실시에서는 토지조성에 의한 친수공간사업 이외에 방재사업의 필요 성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권장하고 있어 사업시기 등의 조정에 의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 이에, 방재 및 수질오염 방지대책과 관련된 워터프런트 1단계 사업은 우선 추진하 고, 단계별 추진 구역을 세분화하여 사업단계 및 내용을 조정하여 친수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함
⊙ 단계별로는 1단계 방재 및 수질문제해결 사업, 2단계 친수사업, 3단계 남측수로 워터프런트 사업 등으로 구분하고, 사업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MP(총괄마스터플랜 너) 선정, 시민과 함께 하는 워터프런트 사업 등 공론화를 통한 시행이 필요함
⊙ 친수공간계획의 범위를 인천 해양친수도시정책 차원으로 접근하여 원도심 지역과 의 격차문제, 주민들간의 갈등심화 등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접근하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
문제제기
⊙ 송도지구 조성 후 북측수로의 수질문제, 센트럴파크 호수의 해초류 문제 등 수환경 문제와 함께 6·8공구 호수 조성에 따라 수공간의 통합적 유지관리 문제가 대두됨
⊙ 2012년 수공간의 통합적 관리와 방재적 측면에서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을 검토 후 사업 추진 중에 경제청 감사, 타당성조사 재실시 등 절차보완 등으로 인하여 2017년까지 답보상태에 이름
⊙ 사업지연에 따른 송도주민의 민원, 시민사회의 워터프런트 사업에 대한 문제제기, 타당성 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도워터프런트 사업의 적절한 조성방향 제시가 필요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