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슈브리프

도시계획

송도지구 워터프런트 조성사업 추진방향

  • 연구자
  • 발행년도

    2019

  • 연구유형

    현안

  • 등록일

    2020-01-22

내용

Executive Summary

 

⊙ 송도지구는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시  송도  6·8공구내  바닷물  유입  등을  통한  친수계획을  시작으로  2008년  송도  11공구의  조류대체서식지  조성  확정에  따라  11공구내  수변공간계획을  통하여  송도지구  전체에  대한  수공간의  통합 적  유지관리방안의  문제가  제기됨

⊙  북측수로의  수질오염과  센트럴파크  호수내  해초류  발생  등으로  인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6·8공구  호수, 11공구  수변공간, 남측수로  등의  수질과  수공간의  통합적  관리  문제로  인하여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  용역을  시행함
⊙ 2012년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  검토  후  사업추진  중  경제청  감사, 타당성조사  재실시  등  절차보완으로  인하여  2017년까지  답보상태에  이름
⊙ 타당성  조사  재실시에서는  토지조성에  의한  친수공간사업  이외에  방재사업의  필요 성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권장하고  있어  사업시기  등의  조정에  의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 이에, 방재  및  수질오염  방지대책과  관련된  워터프런트  1단계  사업은  우선  추진하 고, 단계별  추진  구역을  세분화하여  사업단계  및  내용을  조정하여  친수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함
⊙ 단계별로는  1단계  방재  및  수질문제해결  사업, 2단계  친수사업, 3단계  남측수로  워터프런트  사업  등으로  구분하고, 사업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MP(총괄마스터플랜 너) 선정, 시민과  함께  하는  워터프런트  사업  등  공론화를  통한  시행이  필요함
⊙ 친수공간계획의  범위를  인천  해양친수도시정책  차원으로  접근하여  원도심  지역과 의  격차문제, 주민들간의  갈등심화  등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접근하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

 

문제제기

 

⊙ 송도지구 조성 후 북측수로의 수질문제, 센트럴파크 호수의 해초류 문제 등 수환경 문제와 함께 6·8공구 호수 조성에 따라 수공간의 통합적 유지관리 문제가 대두됨

⊙ 2012년 수공간의 통합적 관리와 방재적 측면에서 송도지구 수처리 및 수변공간 활용 타당성을 검토 후 사업 추진 중에 경제청 감사, 타당성조사 재실시 등 절차보완 등으로 인하여 2017년까지 답보상태에 이름

⊙ 사업지연에 따른 송도주민의 민원, 시민사회의 워터프런트 사업에 대한 문제제기, 타당성 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도워터프런트 사업의 적절한 조성방향 제시가 필요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