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중수교 20년 특집Ⅱ: 대(對)중국교류의 새로운 방식, 공공외교 (公共外交)

  • 등록일

    2012-08-20

2012년은 한국과 중국이 정식으로 국교를 수립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임. 오랜 냉전으로 서로에게 낯선 존재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은 1992년 8월 24일 수교 이후 경제, 사회 ‧ 문화 등 각 영역에 걸쳐 교류와 협력을 급속히 확대해 왔음. 특히, 선도 수출형 개발도상국(한국)과 후발 수출형 개발도상국(중국)이라는 양국의 경제 ‧ 산업구조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양국 간 상호보완적 경제협력관계가 구축되었음.  양국의 지리적 인접성, 오랜 역사유대 그리고 문화적 유사성 등은 이런 경제협력의 심화를 가능하도록 한 핵심적 추동력이었음. 한중 양국간 교류의 양적인 팽창과 동시에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질적인 변화가 도래하고 있음.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중국 경제체제 전환에 대비한 새로운 한중교류 양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임. 경제협력의 심화를 가능하도록 했던 사회문화적 ‧ 인적 교류의 성과와 한계를 면밀하게 평가하고 민간 교류 역량을 재조직하여 새로운 한중 교류의 전개를 위한 토대를 구축해야 함. 이를 통해 대중적(大衆的)문화 교류에 기초한 관광, 서비스업 등 새로운 내수시장 분야의 경제협력을 개척하는 한편 한중FTA와 같은 여건 변화에 대비해야 함

 

<목  차>
1. 한중 경제교류의 성과와 전환점
2. 한중 사회문화교류의 재고 필요성
3. 대 중국교류의 새로운 방식, 공공외교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