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물가지수로 본 코로나19 이후의 중국경제

  • 등록일

    2020-05-25

2020년 1분기 중국의 CPI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나 4월부터 3%대로 진정세

- 1~2월의 5%대에서 3월에는 4%대로, 5월에는 3%대로 점차 안정

채소와 돼지고기 가격의 급등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속 코로나19 사태가 1분기의 높은 CPI 상승률을 견인

한편, CPI가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 것과 달리 PPI는 하락세 심화

- 1월의 0.1%를 고점으로 2월에는 –0.4%, 3월에는 –1.5%, 4월에는 –3.1%로 3개월 연속 하락세

2월부터 PPI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띠면서 갈수록 악화한 것은 코로나19 사태와 국제유가 하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

CPI는 2분기부터 안정될 전망이며, 연간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3%를 달성할 수 있을 전망

PPI는 코로나19의 팬데믹 사태로 인해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하고 단기간 국제유가의 추세적인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등의 원인으로 2020년에도 연간 PPI가 플러스로 전환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

2020년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 고용 안정, 물가 안정 등을 목표로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칠 전망


<목 차>

1. 중국의 CPI 동향과 원인

2. 중국의 PPI 동향과 원인

3. 전망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