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웨이(微)”의 시대
- 등록일
2014-07-17
첨부파일
2014년 6월 25일 중국사회과학원은 『뉴미디어보고서(2014)』를 발표
중국에는 6억 명의 웨이신(微信· 카카오톡과 같은 글로벌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 사용자와 13억 명의 웨이보(微博·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음
오늘날 중국의 미디어는 “웨이”의 시대라고 표현함
6억 명의 웨이신 사용자는 200개 국가, 20개 언어로 전세계에서 사용 중에 있음
웨이신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사용자 수는 2억 7천만 명에 달함
매일 8천개 이상의 소식을 주고받으며 활발한 교류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음
웨이보가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가 현재 총 103개로, 계정 수는 이미 13억을 넘어섬
이용자수로는 QQ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지만,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사이트는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시나닷컴(新浪)이 제공하는 웨이보임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웨이신 이용자층이 점차 젊어지고 있음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집단은 24세 이하로 33.7%로 나타남
3,000~5,000위안의 중산층의 비중이 32%로 나타남
웨이신 사용자는 주로 소비주체로 소비 잠재력이 비교적 큰 편임
웨이보 사용자의 특징 저학력, 저소득, 젊은 층으로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집중되어있음
청소년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지만, 대학생의 활동이 가장 활발함
중고생 이하의 사용자 비중이 77.9를 차지함
5,000위안 이하 소득 사용자는 91.5%이며, 이 중 소득이 없는 사용자가 25.6%에 달함
64.1%의 청소년은 고정적인 상대와 교류를 나누고, 10.7%의 청소년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이성 친구를 사귀어 봤다고 답함
<출처:山东蓝皮书:山东工业产能过剩问题突出, 中国网, 201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