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지역] 일대일로 중국 거점도시 개요

  • 등록일

    2016-08-22

2013년 9월 7일 시진핑 주석의 카자흐스탄 방문 당시 처음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공동 건설에 관한 중대 전략 구상이 제기됨
- 2014년 3월 리커창 국무원 총리의 《정부공작보고》에서 실크로드 경제벨트, 21세기 해상실크로드건설의 적극 추진을 언급
- 2015년 3월 28일 《실크로드 경제벨트 및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계획(推动共建丝绸之路经济带和21世纪海上丝绸之路的愿景与行动)》을 발표

《실크로드 경제벨트 및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계획》은 일대일로 5대 중점정책을 제시함
- ▲정책소통(政策沟通), ▲인프라 연결(设施联通), ▲무역 활성화(贸易畅通), ▲자금융통(资金融通), ▲민심상통(民心相通)

 

<계획>에서 제시한 권역별 주요 세부정책 내용을 기초로 실크로드 경제벨트 지역 8개 거점도시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지역 12개 거점도시를 선정해 GRDP, 사회소비품판매총액, FDI, 수출입 규모와 5년 평균증가율을 정리함
-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충칭, 쓰촨성 청두, 산시(陝西)성 시안, 신장자치구 우루무치, 닝샤자치구 인촨, 칭하이성 시닝, 깐수성 란저우, 시짱자치구 라싸를 거점도시로 선정함
-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는 연해 항구도시인 톈진, 랴오닝성 다롄, 상하이, 저장성 닝보, 푸젠성 푸저우와 샤먼, 광둥성 광저우와 선전, 광시자치구 난닝, 하이난성 하이커우, 윈난성 쿤밍을 거점도시로 선정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김수한·유다형(2015), “중국 실크로드경제벨트와 서부거점도시의 성장”, 『IDI 도시연구』 9: 251-265.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