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지역] 해상 실크로드 거점도시 개요

  • 등록일

    2016-09-05

해상 실크로드는 푸젠성을 중심으로 중국 동부 연해 도시들의 항만시설 확대·강화하여 연해지역을 시작으로 중남해를 지나 인도양을 거쳐 유럽까지 뻗어나가는 해상교역로 건설 프로젝트임
- 상하이, 톈진, 닝보, 광저우, 선전, 잔장(湛江), 산터우(汕头), 칭다오, 옌타이, 다롄, 푸저우(福州), 샤먼(厦门), 취안저우(泉州), 하이커우(海口), 싼야(三亚)의 항구 건설
- 상하이·광저우 국제공항 허브 기능 강화

 

지역별 해상실크로드 관련 정책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상하이는 자유무역실험구의 적극적인 활용
- 푸젠성은 취안저우, 푸저우, 샤먼, 핑탄을 선도로 한 대외역량 및 대만과의 협력 강화
- 윈난성은 주변국가와의 국제운송통로 건설, 경제협력의 새로운 지역으로 동남아시아의 창구 역할을 기대
- 광시자치구는 베이부완(北部灣)경제구와 주장(珠江)-시장(西江)경제벨트의 발전을 통해 아세안지역의 통로역할과 서남지역 개방의 전략적 위치해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해상실크로드를 연결하는 거점지역으로 지정
- 지역출신 화교자본의 투자유치를 통해 일대일로 활성화 도모


<출처: 중국국무원, 《推动共建丝绸之路经济带和21世纪海上丝绸之路的愿景与行动》, 2015-03-28>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