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권역별 소비판매총액
- 등록일
2017-02-20
첨부파일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을 권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그림 2>와 같음
- 권역은 중국을 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남, 서북의 7개로 구분함
화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21,182.6억 위안으로 40대 도시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의 16.1% 비중을 차지함
- 소비품 판매규모 중국 TOP 5에 해당하는 베이징과 톈진을 제외한 화북의 스자좡, 타이위안, 후허하오터는 3,000억 위안 미만의 소비규모를 가짐
동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12,774.5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9.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얼빈 3,394.5억 위안, 선양 3,883.2억 위안, 다롄 3,087.5억 위안, 창춘 2,409.3억 위안으로 비슷한 수준임
화동지역의 9개 주요도시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38,303.3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29%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독보적으로 큰 규모인 상하이 외에, 주장삼각주 도시인 난징, 쑤저우, 항저우가 4,000억 위안대의 규모를 보이고 있음
화남 주요도시는 22,504.7억 위안의 소비규모로 화동지역 다음으로 규모가 큼
- 광저우 다음으로는 선전(5,017.8억 위안), 푸저우(3,488.7억 위안), 취안저우(2,459.6억 위안) 순임
화중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15,934.1억 위안으로 주요도시의 12.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5개 도시 가운데 우한의 판매총액이 5,102.2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창사, 정저우, 허페이, 난창 순으로 나타남
서남 주요도시는 14,573.2억 위안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 규모로 충칭과 청두가 서남의 78%의 비중을 차지함
- 시짱(티베트)성 라싸의 소비규모는 205.8억 위안으로 40개 주요도시 가운데 가장 적음
서북 주요도시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6,648.5억 위안으로 서부징역 최대도시인 충칭시의 규모와 비슷한 수준임
- 시안(3,405.4억 위안), 란저우(1,152억 위안), 우루무치(1,151.5억 위안), 인촨(477.6억 위안), 시닝(461.9억 위안) 순임
<출처>
1. 중국국가통계국
2. 각 시 통계공보(2015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