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산업] 중국 ‘행복산업’ 급성장

  • 등록일

    2017-09-04

중국의 소비품목 다양화, 소비 품질 향상, 소비 방식의 다원화로 삶의 질과 연관된 여행, 문화, 체육, 건강, 실버, 교육산업이 ‘행복산업’이라 불리며 급부상하고 있음

■ 관광 산업의 성장과 여행 트렌드

2015년 중국의 여행 및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는 30,017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 GDP의 4.4%를 차지함
- 또한 여행서비스, 여행정보 제공, 여행가이드 관련 서비스 기업의 영업이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여행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으면서 여행소비가 크게 증가함
- 2016년 중국의 국내여행객는 44억 명으로 2012년 대비 50.2% 증가했고, 국내여행수입은 39,390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73.5% 증가함

 

중국의 해외여행객 수는 1.22억 명으로 2012년 대비 46.7% 증가했으며, 해외여행 소비규모는 1,098억 달러로 세계 1위 수준임

■ 문화 · 체육 산업의 동반 성장

2016년 문화 및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는 30,254억 위안으로 전체 GDP의 4.07%의 비중을 차지하며 2012년보다 0.59%p 증가함
- 시진핑 집권 1기 기간 동안 중국의 1인당 평균 문화소비 지출액은 35.5위안에서 55.7위안으로 56.9% 증가함

방송·드라마·영화·음악 제작, 문화·예술, 오락 관련 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15.9%, 24.0%, 20.9%로 나타남
- 체육 산업의 부가가치는 5,494억 위안이며 2015년과 2016년 체육관련 기업의 영업수입 성장률은 약 19.1% 증가함

■ 헬스 · 실버 서비스업의 굴기

2013~2016년 헬스서비스 관련 기업의 영업수입은 연평균 12.6%의 성장을 기록
- 실버산업 관련 기업의 영업수입 연평균 성장률은 28.7%로 나타남

헬스·실버산업과 관련된 시설설비, 전문 인력, 서비스 수준도 크게 향상됨
- 2016년 중국의 병원은 2.9만 곳, 의료침상 741만 개, 의료인 845만 명으로 2012년 대비 각각 25.8%, 29.4%, 26.6% 증가함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거주형태의 양로서비스 기관(실버타운)은 2.78만 개, 침상 680만 개로 2012년 대비 63.3% 증가함

■ 공교육 투자 · 교육시장 확대

중국의 2016년 교육경비 투입 규모는 38,866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35.6%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국가 재정성 교육경비는 31,373억 위안으로 중국 GDP의 4.2%를 차지함

공공교육과 더불어 사교육 시장도 크게 확대되어 2016년 각종 형태의 학원은 17.1만 개로 2012년 대비 3.1만 개가 증가했으며, 학원에 다니는 학생 수는 4,825만 명으로 914만 명이 증가함
- 시진핑 집권 1기 교육관련 기업의 영업수입은 연평균 13.0% 증가함
- 같은 기간 직업능력, 체육, 문화예술 분야 교육기관의 영업수입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11.5%, 26.2%, 12.2%로 나타남

<출처>
1. 《党的十八大以来经济社会发展成就系列之四-创业创新蓬勃兴起 新兴产业茁壮成长》
2. 《党的十八大以来经济社会发展成就系列之十五-服务业擎起半壁江山 新兴服务业蓬勃发展》
3. 《党的十八大以来经济社会发展成就系列之十九-科技发展成效显著 创新驱动加力提速》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