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 특징
- 등록일
2018-01-29
첨부파일
중국 수입식품 주 소비층은 고등교육을 받은 빠링허우(80년대생)
- 수입식품 소비자의 85%가 대졸이상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80년대 생에 해당하는 26세-30세(31%), 31-35세(34%)가 65%에 달함
주 소비층인 빠링허우가 가정을 꾸리고, 양육을 하면서 소비품목이 개인용품에서 가정용품으로 전환되고 있음
- 빠링허우의 소비 특징은 가격 민감도가 낮고, 품질, 다양성, 개성화에 대한 관심이 많음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79%는 기혼, 21% 미혼이며, 소비자의 91%가 자녀가 있다고 답변함
자녀의 연령분포 비중은 12세 이상 9%, 6-12세 26%, 3-6세 29%, 2-3세 16%, 1-2세 15%, 6-12개월 9%, 3-6개월 4%, 1-3개월 2%로 3-12세의 자녀를 가진 가정의 수입식품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임
수입식품 소비자의 가정구성은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형태가 47%로 가장 높으며, 1인 가구 9%, 부부/연인 2인 가구 15%, 부모님과 거주 15%, 기타 13%로 나타남
중국 수입식품 소비자의 직업은 화이트칼라 직군의 소비가 두드러짐
- 기업 일반 관리직이 27%로 가장 많으며, 기업 일반직 21%, 기업 중간급 관리직 19%, 전문 기술직 10%, 전문직(변호사, 회계사, 의사) 8%, 공무원 7%, 기업 고위 관리직 4%, 개인사업자 3%, 프리랜서 2% 순으로 집계됨
수입식품 소비자의 가정 월수입(세전)은 2만 위안 이상이 53%에 달함
- 수입식품 소비자의 소득 분포는 4만 위안 이상 13%, 3-4만 위안 11%, 2-3만 위안 29%, 1-2만 위안 38%, 1만 위안 미만 10%로 나타남
<출처: 中国进口食品消费研究白皮书, 艾瑞咨询,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