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중국 청소년 인터넷 이용 현황
- 등록일
2020-06-15
첨부파일
CNNIC는 2020년 5월 13일 공청단 중앙 보호 청소년 권익부(共青团中央维护青少年权益部)과 함께 「2019년 전국 미성년자 인터넷 사용현황 연구 보고(2019年全国未成年人互联网使用情况研究报告)」를 발표
- 보고서는 중국 31개 성시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직업학교 재학생 3만 4,66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환경 등을 조사함.
- 본 글에서는 조사대상을 청소년이라 칭함.
2019년 중국의 청소년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1.75억 명으로 보급률은 93.1%에 달함.
- 중국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인터넷 보급률은 각각 93.9%, 90.3%로 격차는 2018년 5.4%p에서 3.6%p로 축소함.
중국 청소년의 인터넷에 대한 인식은 세계를 알아가는 창구(67.1%), 학습 보조 도구(66.1%), 휴식·오락 수단(59.3%), 편리한 생활을 위한 도구(53.1%), 친구를 사귀는 통로(36.5%), 자신을 표현하는 공간(18.8%) 순으로 조사됨.
중국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목적은 온라인 교육이 89.6%로 가장 많고, 음악 감상 65.9%, 게임 61%, 메신저 58%, 숏 비디오 시청 46.2%, 정보 검색 44.9%, 동영상 시청 37.5% 순
중국 청소년의 일일 인터넷 이용시간을 평일과 주말로 나누어 살펴보면, 평일에는 30분 이내가 59.5%로 가장 많았으나, 주말은 30분~1시간이 26.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중국 청소년의 기기별 인터넷 이용 비율은 스마트폰이 93.9%로 가장 높고, TV가 그다음을 이어 56.7%로 전년대비 10%p 증가함.
-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기기별 이용 비율이 스마트폰, 데스크톱, 노트북, TV 순인 것과 비교해 청소년의 TV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많음.
<출처: CNNIC(2020b), 《2019年全国未成年人互联网使用情况研究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