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비스업 소상점 발전 특징과 방향
- 등록일
2020-08-31
첨부파일
▣ 서비스업 소상점 발전 특징
「중국서비스업 소상점 경제활력 보고」는 중국 서비스업 소상점을 공급능력, 소비활동, 데이터화 수준 등 세 방면으로 경제활력을 분석
- 공급능력은 다양한 품목, 온라인 스토어 비중, 높은 평가를 받은 스토어 비중
- 소비활동은 소비금액과 증가율
- 데이터화 수준은 스토어 온라인화 비율, 온라인 결제 시스템 보급률을 지표로 함.
서비스업 소상점 운영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디지털화 서비스는 온라인 주문으로 음식점 주문과 각종 생활 미용 서비스 예약을 포함한 사용 비중은 35.6%에 달함.
- 이 밖에도 주문·일정 관리, 결제, 충전 및 회원권 등의 서비스를 사용
▣ 소상점 경제의 발전 방향
소상점은 진입장벽이 낮아, 비교적 쉽게 일을 시작할 수 있고,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음.
- 중국의 2019년 제4차 전국경제조사(第四次全国经济普查)에 따르면 하나의 소상공인이 2.37명을 고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1.98억 명이 일자리를 창출된다고 추산함.
서비스업 소상점은 규모가 작고, 유연성 있는 영업 방식으로 지역 주민 생활에 더 밀접하게 연결되며, 개성 있는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
- 특색있는 음식점, 대여 공간, 미용, 음악 학원 등으로 다양하고 적은 자본금으로 기회를 얻을 수 있음.
최근 중국의 소비는 개성화, 특색, 균형화의 특징을 보임.
- 중국인의 소득·지식 수준 향상과 다양한 생활습관으로 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나 아직 잠재력이 풍부한 시장임.
또한, 중국의 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내수 소비를 강조하고 있어 정부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정책 활용이 가능함.
<출처: 美团研究院(2020), 「中国服务业小店经济活力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