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국 5G 단말기 활용 분야
- 등록일
2022-02-28
첨부파일
중국의 5G는 점차 신기술과의 융합력이 향상되고 있음.
- 4회 블룸컵 공모작 중 빅데이터, 인공지능,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사용하는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함.
카메라, 5G CPE, 센서 등과 같은 단말기에서의 수요가 활발해, 다양한 업종에서 활용함.
- 공업 제조, 스마트단지, 교육, 스마트도시, 문화관광 등 5개 업종을 분석한 결과, 카메라를 5G에 연계해 활용한 비중이 57.7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CPE는 가장 보편적인 5G 접속방식으로 50.31%를 차지하고, 5G 인터넷 47.74%, 센서는 36.06%임.
산업 분야별 사용하는 단말기 비중은 상이함.
- 공업 제조 분야의 5G 인터넷활용 비중은 71%,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무인운반로봇) 설비 사용 비중은 42% 수준임.
- AR과 VR 단말기는 교육과 문화관광 분야에서 많이 사용함. 특히 VR은 교육 분야에서 55%, 문화관광 분야에서 62% 사용함.
코로나19 상황 이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개념이 크게 화두로 떠오르며, VR 산업체인 고도화가 가속화 함.
- 현재 단말기 대부분은 4K VR 영상만 송출할 수 있고, 8K 초고화질은 100Mbps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VR 체험과 활용범위 확대에는 제한이 있음.
∙ 8K VR 영상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 단말기 기술 개발이 필요
2021년 6월 28일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 문예공연 ‘위대한 여정’에서 “즉시 촬영, 순간 편집, 실시간 송출”로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8K 초고화질 생방송을 송출함.
- 향후 시간 연장과 화질개선의 문제를 해결해 실시간 중계 수요가 있는 의료분야나 현장 지휘 등에 활용할 계획
<출처: 中国信息通信研究院·5AIA·IMT-2020(2021). 「5G应用创新发展白皮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