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산업] 중국 전자상거래 종사자와 인재 양성

  • 등록일

    2023-08-28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의 확대에 따라 라이브 커머스, 실시간 판매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나고 있음.

-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 분야의 인재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일자리가 공급되고 있음.

- 중국 정부는 국가 직업 대전 분류에 ‘전자상거래 서비스 종사자’를 추가하고, 관련 지원 정책과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음.


2022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관련 종사자 수는 6,937.18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1% 증가했음.



전자상거래 업무는 단순히 인터넷, 이커머스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전통 산업과의 융합으로 농업, 공업, 무역, 금융업, 교통운송업, 컨설팅 서비스,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음.


전자상거래 전문 인재는 크게 기술직, 영업직, 관리직으로 나눔

- 직무별 주요 업무는 ▲기술직-소프트웨어·플랫폼 개발,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설계 등, ▲영업직-마케팅, 플랫폼 운영, 고객 서비스, 상품 운영, 미디어 운영, 공급망 관리 등, ▲관리직-기업 내부의 기획, 자문, 조직, 관리·감독 등을 수행


2022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관련 학과와 학생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022년 중국 4년제 대학의 전자상거래 관련 학과는 662개로 세부 전공별로는 전자상거래 563개, 전자상거래와 법률 21개, 해외 전자상거래 78개로 집계됨. 

- 2년제 전문대학교의 전자상거래 관련 전공은 해외 전자상거래, 모바일 상거래, 온라인 판매와 라이브커머스, 농촌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과 응용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개설 학교 수는 2,352개로 전년 대비 227개 증가함.




<출처: 商务部(2023), 「中国电子商务报告(2022)」>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