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국 전자상거래 발전 현황
- 등록일
2023-08-28
2023년 6월 중국 상무부(商务部)는 「중국 전자상거래 보고(中国电子商务报告(2022))」를 발표함.
2022년 중국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43.88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함.
온라인 판매도 꾸준히 증가해 중국 내수 소비를 이끌고 있음.
2022년 중국의 인터넷 쇼핑 이용자 수는 8.45억 명으로 전년 대비 319만 명 증가했으며,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79.2%에 달함.
2022년 온라인 판매액은 13.79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으며, 실물 상품 판매액은 11.96조 위안으로 전체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의 27.2%의 비중을 차지함.
온라인 상점 수는 2,448만 개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음.
- 그중 실물 상품 상점 수는 1,319.3만 개로 17.7% 증가했음.
- 상점의 판매 품목별 상점 수 비중은 의류·잡화 22.51%로 가장 많고, 일상용품 22.87%, 금속·전기제품 6.83% 순으로 나타남.
품목별 판매액 비중은 의류·잡화, 일상용품, 가전·음향 순으로 각각 22.62%, 14.62%, 10.34%를 차지함.
- 2022년 전년 대비 판매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약품이 43.6%를 기록했고, 귀금속 27.3%, 담배·주류 19.1%로 나타남.
지역별 판매총액 비중은 광둥 24.74%, 저장 15.36%, 베이징 11.91%, 상하이 11.49%, 장쑤 7.91%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0개 지역의 비중이 86.91%에 달함.
- 권역별 비중은 동부 83.92%, 중부 88.87%, 서부 5.73%, 동북 1.48%임.
2022년 중국 전자상거래 서비스업 영업이익은 6조 7,9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음.
- 그중,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영업이익은 1.5조 위안, 전자결제·물류·정보기술 서비스는 2.5조 위안, 파생 서비스는 2.75조 위안임.
∙ 2022년 중국 「정부업무보고」에서 대형 플랫폼 기업의 수수료를 인하해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 시장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음.
거래 유형별 서비스 영업이익은 B2C 거래 서비스가 7,899.9억 위안으로 가장 크고, C2C 거래 서비스 5,317.1억 위안, B2B 거래 서비스 2,174.5억 위안으로 나타남.
<출처: 商务部(2023), 「中国电子商务报告(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