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산업] 2022년 중국 미성년자 인터넷 이용 현황

  • 등록일

    2024-01-15

2023년 12월 23일 공산주의청년단 중앙청소년권익보호부(共产主义青年团中央 维护青少年权益部)와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는 「제5차 전국 미성년자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보고서(第5次全国未成年人互联网使用情况调查报告)를 발표

- 5년 단위로 발표되는 보고서는 31개 성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직업학교 등 31,688명의 학생과 11,624명 학부모, 787명 선생님을 대상으로 표본 검사를 통해 실시함.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미성년 네티즌 규모는 1억 9,300만 명이며 미성년자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8년 93.7%에서 2022년까지 97.2%로 증가함.

- 인터넷 사용 미성년자 연령이 현저히 낮아지는 추세이며, 초등학생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8년 89.5%에서 95.1%로 증가함.

- 도시와 농촌의 미성년자 인터넷 보급률 격차는 2018년 5.4%p에서 2022년 1.0%p로 감소하는 추세임.



디지털 교육이 자신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미성년 네티즌의 비율은 2018년 53.0%에서 2022년 77.4%로 증가함.

- 미성년자 네티즌 90%는 휴대전화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20% 이상은 스마트워치, 스마트 조명, 전자사전 등 새로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고 있음.


숏폼(짧은 동영상)을 자주 시청하는 미성년 네티즌의 비율은 2018년 40.5%에서 2022년 54.1%로 증가하였으며 숏폼은 정보를 얻는 중요한 채널로 자리 잡음.

- 미성년 네티즌 80% 이상이 인공지능 기술(AI)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하며 AI에 높은 관심을 보임.


<출처: 共青团中央维护青少年权益部·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2023). 「第5次全国未成年人互联网使用情况调查报告」>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