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류의 확대와 新3D

  • 저자

    김화섭

  • 출처

    산업연구원(KIET)

  • 발행일

    2005-02-18

  • 등록일

    2005-03-16

[월간 KIET 산업경제 2005년 2월호(통권 77호)]

한류의 확대와 新3D
- 중국과 대중문화를 넘어서-

< 요약 >

1990년대 후반 이후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류는 내용 및 공간 측면에서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중국에서 시작된 한류는 중국내 수용층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도구로서도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핸드폰, 바둑, 자동차 및 IT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IT는 사회현상에 대한‘자발적 의사표현’이라는 새로운 한류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급기야 한류 현상은 중국을 넘어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류는 산업경쟁력 강화의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정보화 사회 경쟁력의 원천이라고 일컬어지는 新3D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 인터넷을 통한 자발적인 의사표현은 한국을 제품 테스트의 장이 되게 했고, 이는 디지털(Digital) 제품 경쟁력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한류 경쟁력의 근본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는‘손재주’는 DNA와 연관되어 있다. 디자인(Design)은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바 대중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는 한류와도 상관관계가 높다 하겠다.
한류가 향후 산업경쟁력 강화의 원천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한류가 만들어지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문화 및 일상생활에서 산업적 가치로 활용될 수 있는 소재 발굴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