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기업의 해외투자 러시와 시사점 [보도자료/원문]

  • 저자

    KOTRA 동북아팀

  • 출처

    KOTRA

  • 발행일

    2005-06-29

  • 등록일

    2005-06-29

中國 기업의 해외투자 러시와 시사점

- 외자유치 일변도에서 벗어나 인진라이(引進來)와
저우추취(走出去)의 쌍방향 정책으로 선회 -
- 中 기업과 전략적 관계 설정 필요-


O 저우추취(走出去), 중국 정부의 준비된 전략

최근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후원을 등에 업고, 외자유치의 경험과 넉넉한 자금을 무기로 중국기업들의 해외투자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외국자본의 블랙홀이었던 중국이 어느덧 세계적 투자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국기업들의 주요 타깃은 기술과 브랜드는 있으나 자금이 부족한 우량기업들로, 이들 기업을 인수함으로써 단기간 내 무명기업에서 탈피하고 선진기술과 브랜드를 동시에 거머쥔다는 전략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쌍용자동차 인수사례 이후에야 중국기업의 적극적인 해외투자가 주목을 끌었으나 실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훨씬 그 이전부터 준비된 전략이었다.

KOTRA(사장: 洪基和, www.kotra.or.kr)가 발표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走出去) 러시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 20여 년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외자유치 성과를 토대로 중국정부는 2015년까지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안에 50개의 중국기업이 포함되도록 육성한다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있는데 이의 일환으로 중국기업의 해외투자와 해외기업 M&A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정부가 기존의 인진라이(引進來)라는 외자유치 일변도에서 인진라이와 저우추취라는 쌍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한 것은 중국 대외개방정책에서 인진라이와 저우추취의 양대 축 사이에서 이제는 균형점을 맞추려고 시도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저우추취를 통해 경제 분야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대외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포석이 깔려있는 것으로 KOTRA는 분석하고 있다.

해외투자 초기에는 정부주도의 국영기업이 정책적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던데 반하여 최근에는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우량 민영기업의 해외진출이 증가하며 저우추취의 새로운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O 해외 M&A, ‘저우추취’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아
최근 중국의 해외투자의 특징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해외 M&A다.

UNCTAD 통계에 따르면 2003년도 중국기업의 M&A 규모는 16.47억 불로 전년대비 57.3%나 증가하였는데 2003년 전체 투자에서 M&A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91.5%에 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 우량기업에 대한 M&A가 증가하면서, 선진국 시장개척과 핵심기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중국기업의 행보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해외 M&A는 핵심기술 인수, 브랜드 확보, 다국적기업과 제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무게가 실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시장의 공급과잉으로 해외투자의 선봉에 섰던 가전, IT전자 등의 해외투자와 M&A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기업의 해외 M&A 동향】 생략
자료원 : World Investment Report 2004(UNCTAD)

O 중국의 對韓투자, 선진기술 확보 위한 M&A 형태 증가 예상

중국의 對韓투자도 2000년대 들어서면서 약진을 보이며 투자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BOE의 하이디스 인수 사례나 상하이치처(上海汽车)의 쌍용자동차 인수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기업에 대한 M&A도 선진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발판으로 활용한다는 점이며 향후 투자재원을 확보한 중국기업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우리기업을 계속해서 두드릴 것이다.

【중국의 對한국기업 주요 M&A 현황】 (생략)

【중국의 對韓투자 동향】 자료원 :Invest Korea (생략)

O 中기업과 전략적 관계 설정하여 분업체계 구축 필요

앞으로 위안화 평가절상까지 이루어지게 되면 중국기업의 해외투자는 새로운 탄력을 받게 될 것이다. 이렇게 중국을 넘어 세계의 중심이 되려는 중국기업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와 관련, 이 동철 KOTRA 동북아팀장은 “중국기업이 몰려오는 것에 전전긍긍하는 대신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피동적 자세보다는 적극적인 자세로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전략적 제휴를 통한 분업체계를 구축해야하며, 더 나아가 중국기업을 역이용하여 중국 내수시장 진출의 새로운 돌파구 마련도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동 보고서는 아울러 ▶세계 FDI 시장에서 큰손으로 부상한 중국을 신흥 투자유치원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인 투자유치 프로젝트를 마련해 중국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활용 ▶ Made in China가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현지 생산, 현지 판매되는 Made by China와 경쟁하는 시대로의 전환에 대비하여 고부가가치, 브랜드파워를 활용한 非가격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요약】.........................................ⅰ

I. 중국의 해외투자(走出去)정책 추진 배경........................1
1. 해외투자(走出去)정책의 전략적 함의.................................1
2.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5

II. 중국의 해외투자 ...............................................................15
1. 해외투자 발전 동향......................................................................15
2. 해외투자 발전 특징......................................................................25
3. 해외기업 인수 현황......................................................................29

III. 중국의 대한국 투자 현황...............................................35
1. 대한국 투자 동향 .........................................................................35
2. 대한국 투자 특징 .........................................................................38

IV. 시사점 및 대응방안.........................................................40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