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부동산안정대책 이후의 주택시장 동향과 전망

  • 저자

    조용찬

  • 출처

    대신경제연구소

  • 발행일

    2005-07-14

  • 등록일

    2005-07-19

중국 부동산안정대책 이후의 주택시장 동향과 전망
- 얼마 전까지도 중앙정부의 부동산안정책이 지방에 하달되면, 지방 시정부는 불균형성장과 특수성을 내세워 토지 양도세, 분양주택에 대한 각종세금과 수수료 등을 자율적으로 조정해 부동산개발업체 및 주택구매자에게 특혜를 주어 왔음. 즉 “상유정책, 하유대책(上有政策, 下有對策)”이 집값 상승을 부추김

- 2004년 전국 분양주택과 분양주택 판매가격이 1998년 이후 최고 수준인 각각 14.4%, 15.2% 오름. 도시주민간 소득격차가 10.7배로 확대되면서 사회불만을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0.47 수준까지 높아짐. 부동산시장을 방치해 둘 경우 경제문제가 사회문제화 되고, 금융문제가 정치화되는 것을 걱정하게 됨

- 중국 국무원은 상승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주택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5월 9일자로 건설부 등 7개 유관부처가 합동으로 금융, 법률 등 모든 제도적장치를 동원한 “주택가격 안정업무 수행의견”에 관한 통지를 각 부처와 성시에 시달하고 적극 이행할 것을 지시.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조간> 중국경제와 금융정보의 띄운 글을 모아 재편집한 내용임


1.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부동산시장이 급등한 주요 원인

2. 중국 부동산시장의 발전방향

3. 중국 10대 도시의 부동산시장 동향

4. 베이징의 도시 총발전 계획

5. 중국 부동산시장과 해외 주요도시 비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