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산업구조 전환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 저자

    이수행, 김정수 (경기개발연구원)

  • 출처

    경기개발연구원

  • 발행일

    2004-12

  • 등록일

    2005-08-17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 of Gyeonggi Province
for Changing of Industrial Structure in China

[ 연구내용 요약 ]

◉ 중국 정부가 책정한 21세기 초반 중국 산업구조고도화 전략의 핵심 산업은 정보통신을 중심으로 한 전기전자산업, 자동차산업, 석유화학 등의 중화학공업 육성 등으로 나타남.
◉ 중국의 이러한 산업구조고도화 전략은 경기도 산업구조와의 동조화 현상을 심화시켜 양 지역간 협력을 확대시킴과 동시에 경쟁 또한 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의 대중국 무역보완도지수는 2000년 0.8987에서 2003년 0.9190으로, 동기간 수출경합도지수는 0.4846에서 0.5854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중국의 지역별 산업구조고도화 전략은 WTO 가입을 계기로 지방보호주의 등 시장기능에 역행하는 요인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효율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음. 이는 중국 내부시장의 통합을 가속화시켜 지역별 산업구조를 시장기능에 의한 효율적인 산업구조로의 재편을 촉진시킬 것임.
◉ 경기도는 중국의 이러한 지역별 산업구조고도화에 대한 전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대중국 지역별 교류협력 활성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경기도의 대중국 지역별 산업적인 측면에서의 경쟁 및 보완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광동성과 가장 높은 경쟁 및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경기도 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산동성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