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ASEAN FTA 한 달,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下)
中.ASEAN FTA에 대한 협정당사국 및 주변국 동향
*중국과 인도네시아.싱가포르.말레이시아등 ASEAN
10개국 간 체결된 세계최대 규모(인구규모)인 中.ASEAN FTA가 발효된 지 한 달이 경과했으나 이에 대한 업계의 관심은 아직 미흡
* 中.ASEAN FTA 발효와 관련한 주요 협정당사국 및 주변국의 동향을 파악(자료 : KOTRA 무역관)하여 적기에 산업계에 제공함으로써 FTA라는 글로벌 시대의 대외환경변화에 대한 산업별 대응전략 마련을 지원코자 함
1.中.ASEAN FTA 발효 이후 주요 협정당사국 동향
(1) 중국
□ 우리 제품의 경쟁력 변화 및 주요 바이어 동향
ㅇ 섬유 등 저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관세율 차별화로 우리 제품의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나
- 우리 제품의 품질경쟁력이 아세안 제품에 비해 앞서고 있어 현재까지는 주요 바이어들의 거래선
전환 의사는 없는 것으로 파악
ㅇ IT, 자동차 등 고부가가치제품의 경우 旣 무관세화 되었거나 우리 제품의 품질경쟁력이 월등히
높아 영향 微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