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철강산업발전정책의 주요 내용

  • 저자

    정은미

  • 출처

    KIET(산업연구원)

  • 발행일

    2005-08-17

  • 등록일

    2005-08-27

[KIET 산업경제 2005년 08월호]

지난 7월 20일 중국은 ‘철강산업발전정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동 정책은 철강업체에 대한 통
폐합을 통해 경영효율 저하, 자원의 비효율적인 소모, 기술 낙후, 환경오염 등의 과제를 해결하며,
중국 소비를 충족하는 생산체제를 갖추고 더 나아가 중국을 철강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청사진
을 제시하고 있다.

철강산업발전정책은 이미 지난 4월 국무원 상무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개요는 작성되었으나, 수천
개에 달하는 중국 철강업계의 이해관계 조정과 기업 통폐합, 외국기업 중국 철강시장 진출 등의 민
감한 내용에 대한 보완과정을 거쳐 발표되었다. 철강산업발전정책에서는 중기 산업발전정책을 반
영하여 철강산업의 수급안정화, 지속가능개발과 환경친화형 산업으로의 전환, 효율적인 외자유치
및 산업구조조정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지역별 균형발전, 신기술·설비 확보를 위한 목표와 전략
을 담고 있다.

동 발전정책으로 세계 철강산업의 판도변화가 가속화되고 세계 철강산업의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
로 기대되지만 우리 철강업계에는 중국 진출전략의 차별화된 접근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점과 함
께 강종별 경쟁구도 변화 및 선도기업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