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위안화 절상 이후에도 對 중국 Hot money 유입세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

  • 저자

    김위대, 남수중

  • 출처

    KCIF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05-09-02

  • 등록일

    2005-09-13

[Memorandum “Restricted” 050902-MR]

*해당사이트의 로그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요 약>

ㅁ 04년 이후 위안화 절상 조치 이전인 05년 6월까지 월평균 Hot money 유입액
은 81억 달러 정도이며 총 1,458억 달러 정도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
- 위안화 절상(7/21)이 있었던 7월의 공식통계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SCB는 자체적인
외환보유액 증가분 추정을 통해 약 187억 달러의 Hot money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

ㅁ 향후 위안화 절상의 속도와 폭에 대해서는 견해차가 있으나 시장에서는 추가
절상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으로 최근의 위안화 절상 조치 이후에도 Hot
money 유입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AWSJ, FT 등의 언론들도 중국경제가 고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2% 정도의
소폭 절상은 펀더멘털의 변화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추가적인 절상 압력이 지속될 것이
고 이에 따라 Hot money 유입도 지속될 것이라고 지적

ㅁ 위안화 절상 이후 Hot money 유입액의 상당부분은 그 동안 상대적으로 자금
유입이 저조했던 증시로 유입되었을 가능성
- 지난 7월 22일 이후 8월 31일 현재까지 중국 증시는 13.9% 상승했고 일평균 거래금액
도 7월 1~21일 동안의 일평균 거래금액에 비해 137% 증가
- 증시관계자들은 정부의 증시 구조조정 지원과 기관자금 유입, 유통주 개혁시범기업의
자사주 매입 계획 등도 상승 배경이 되었지만 위안화 절상 수혜기업 주가의 단기 반등
을 노린 Hot money의 유입도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
- 부동산 시장으로의 유입도 5월 부동산 규제 강화 조치 이후 다소 감소했겠으나 고급
상업용 부동산 등을 대상으로 여전히 진행되고 있을 것이라는 의견

ㅁ 중 당국도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를 채택한 것이 오히려 위안화의 추가절상
기대를 증폭시켜 Hot money 유입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
- Hot money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절상 기대감이 사라질 정도의 큰 폭 절상 조치를
취할 경우 광범위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위안화 금리 동결 및 외화 금리 인상, 자본유입
통제와 유출 자유화 확대 등도 급격한 실행이 어려운 상황
- 다만 부동산 규제 강화이후 시장의 관망세 지속과 증시 비유통주의 유통화로 인한 물량
부담, 긴축 이후 경기둔화 가능성 등으로 Hot money가 유입되더라도 그 규모의
증가세가 지속되지는 않을 가능성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