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증권시장의 발전 가능성과 한계점

  • 저자

    김위대

  • 출처

    KCIF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05-10-12

  • 등록일

    2005-10-19

[Memorandum “Restricted” 051012-MR]

*해당사이트 로그인후 열람하실수 있습니다.

<요 약>


ㅁ 05년 9월 글로벌 China펀드의 운용자산 규모는 32억 달러 정도로 73%(yoy)
증가

ㅁ 최근 주식시장은 비유통주의 유통화 실시와 7월말의 위안화 절상 및 향후
기대감, 각종 증시 지원책의 실행 등으로 투자 심리가 다소간 회복된 것으로
평가
ㅇ 장기간 증시의 부담이었던 비유통주의 유통화를 위한 시범기업 선정 이후 현재 140여
개 기업으로 확대. 충격 완화 위해 점진적 물량 출회와 자사주 매입 병행
- 06년에는 전환주가 300여개로 증가, 증시 총가치의 50% 이상을 차지
ㅇ 7월말의 위안화 절상 조치와 향후 지속 기대감 등도 내수기업과 외화부채 누적 기업,
부동산, 원자재, 에너지 기업 등의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China 펀드 자산 증가율은 03~07월 월평균 0.7%에서 08~09월 6.6%로 상승
ㅇ 증권사 파산 등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투자자보호 기금을 설립하고 투자
기반 확대를 위해 국내외 기관투자가의 투자 제한을 완화 (QFII 100억$로 상향)

ㅁ 채권시장은 급속한 양적 성장을 시현하고 있으나 발행주체 편중, 장기물 빈약,
물량/이자율 규제, 은행차입 선호, 규제주체 과다, 신용평가 기능 낙후 등의
문제점 내포
ㅇ 규모로는 아시아 세번째이나 발행주체가 편중(국채 발행비중이 70%(중앙은행채
18% 포함), 정책 금융채권 25%, 회사채 3%, 주식전환채권 2% )
- 3년 이하 만기가 40%, 3~7년 사이 40%, 7년 이상 20% 정도, 장기물 빈약
ㅇ 신용우려로 인한 회사채 발행물량 제한과 100% 담보 요구, 표면금리(Coupon rate)
제한, 채권발행보다 은행 차입 선호 경향 등도 질적 발전을 제한

ㅁ 현지의 증권 관계자들은 주식시장의 개혁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채권시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아직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지적을
제기
ㅇ 그러나 주식시장 경우에도 유통주 전환의 장애요인과 blue chip 과소, 여전한 QFII
규제, 국가주도 기업지배구조, 회계 공시의 불투명성, 부정 부패, 관제증시 성향,
루머성 투자 과다, 사회주의 체제 유지 등이 발전을 제약하는 요인

ㅁ 중국 증시 발전은 우리의 對外 포트폴리오 투자 대상의 확대 및 증권업계의
진출 기회 증가를 의미하는 바 그 성장성과 더불어 위험요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관찰 필요
ㅇ 외국인 투자 유입면에서의 경쟁관계는 우리 증시가 선진국 지수 편입 등을 앞두고
있어 크지 않을 전망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