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주력산업의 한.중간 무역패턴 변화와 시사점

  • 저자

    김경유 (전문연구원 주력기간산업실)

  • 출처

    KIET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05-10-26

  • 등록일

    2005-10-31

[e-Kiet 산업경제정보 제275호]

대중국 무역패턴의 변화에 대한 관심 고조

주력산업은 기술 우위가 유지되는 가운데 생산비 열위 확대

섬유 및 의류를 제외한 전통주력산업에서 비교우위 유지

IT 주력산업은 일부 업종의 기술 비교우위가 무역흑자를 주도

지속적인 기술혁신노력으로 산업 및 무역구조 고도화 필요

< 요 약 >
◦ 최근 중국의 기술경쟁력이 빠른 속도로 높아짐에 따라 중국의 노동집약적 품
목 특화와 우리나라의 기술집약적 품목 특화라는 전통적인 한·중간 무역관
계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됨.
◦ 1 3개 주력산업을 대상으로 지난 1 0년 동안의 한·중간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
한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 비교우위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생산비 비교열
위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주력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비중을 보면 비교우위 업종군의 무역수지 흑
자 비중이 비교열위 업종군의 무역수지 적자 비중보다 크게 늘어나 주력
산업의 흑자 확대에 기여함.
◦ 우리나라는 I T를 제외한 전통 주력산업 중 자동차, 석유화학, 일반기계, 철강
산업에서 상당한 비교우위를 가지고 큰 폭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음.
- IT 주력산업에서는 생산비 비교열위 업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술 비교
우위 업종을 중심으로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음.
◦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수출구조 고도화가 크게 진전되었으나, 최근 중국
이 기술경쟁력 강화에 주력함에 따라 기술 비교우위에 바탕을 둔 무역수지
흑자 기조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과의 무역관계에서 지속적인 기술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업
내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하여 산업구조 및 무역구조의 고
도화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임.

확인

아니오